이번 MOU는 클라우드 적용이 적합한 대표분야로 손꼽혀온 전자정부와 클라우드 산업육성을 책임지는 양 부처가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유기적으로 협력해 국가적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 추진했다.
양 부처는 MOU를 통해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기술개발‧표준화, 공공부문 선도 적용‧확산, 인력양성과 민간확산 및 글로벌 진출 등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또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의 이용확산을 위해 미래부는 플랫폼의 민간 확산을, 안행부는 공공부문 적용과 글로벌 진출에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
양 기관은 협력사항들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미래부의 소프트웨어정책관과 안행부의 전자정부국장을 대표로 하는 추진협의회 및 과장급 실무 협의회를 구성․운영하기로 합의했다.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은 그간 전자정부 시스템들의 구축·운영 표준으로 정착한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국내외 검증된 공개SW들을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표준프레임워크 전담기관인 한국정보화진흥원은 국내 대‧중‧소 클라우드 전문기업들과 협력해 향후 삼년간 이를 지원할 방침이다.
박일준 미래부 국장은 “이번 MOU를 통해 클라우드 플랫폼 기술을 공동 개발해 전자정부시스템을 클라우드 서비스가 가능한 형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클라우드 산업활성화 및 글로벌 시장 진출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박제국 안전행정부 국장은 “이번 MOU는 정부 클라우드 플랫폼이 특정업체 기술에 종속되는 것을 방지하고, 클라우드 환경에서 전자정부서비스의 연계와 통합운용에 필요한 기술 기반을 조기 마련하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 부처는 개발 초기부터 정부‧기업‧개발자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의 소통과 합의가 가능한 열린 장을 마련해 향후 개방형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개발‧확산시킬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