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유출 없다더니"…카드 3사 고객정보 일부 시중유출 포착(종합2)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3-14 21:2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부원ㆍ장슬기 기자 = 최근 카드사에서 유출된 1억여건의 개인정보 중 수천만 건이 시중에 유통된 정황이 포착됐다.

앞서 개인정보를 유출시킨 신용평가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의 직원은 개인정보를 외부에 유통시키지 않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월 국민카드, 롯데카드, 농협카드에서 1억여건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뒤 후속 조사 과정에서 8000만건 이상의 정보가 개인정보 유통업자에게 넘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당국-카드사, 2차 유출 없다더니

창원지검 특수부는 이날 KCB 전 직원인 박모씨가 빼돌린 3개 카드사의 개인정보 1억400만건 중 일부를 광고대행업자를 통해 사들인 후 외부로 다시 판매한 혐의로 대출모집인 이모씨 등 4명을 구속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씨 등은 카드사 고객정보 등을 건수별로 분류해 수차례에 걸쳐 돈을 받고 판매한 혐의를 받고 있다. 다만 금융당국은 현재까지 해당 개인정보가 금융사기 등에 이용됐다는 증거는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3개 카드사들도 "아직까지 2차 피해는 접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잠시 수그러든 고객 이탈이 재발할까 우려하는 모습이다. 다만 이들 카드사는 2차 피해가 확인될 경우 전액 보상하겠다는 방침이다.

문제는 그동안 당국이 직접 나서 이번 카드 사태의 2차 피해는 없다고 계속 공언해왔다는 점이다. 당시 검찰의 발표를 바탕으로 개인정보의 불법 유통이 전혀 없었다고 확신했지만, 사실과 달리 대출모집인에게 정보가 팔려나간 것으로 확인되면서 파장이 예상된다.

금융당국과 카드사들은 2차 피해 가능성을 공지하고 사전 피해 보상 안내도 확대하는 등 고객 정보 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2차 피해 가능성에 국민 불안ㆍ분노 증폭

정보가 유출된 카드사의 사장들이 자리에서 물러났고, 해당 카드사는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정부도 금융권 정보유출 재발방지 대책을 내놓으면서, 이번 사태가 일단락 되는 듯 했다.

그러나 카드사의 고객 정보 중 일부가 시중에 유출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2차 피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국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카드사의 정보에는 개인의 금융정보가 담겨 있다는 점에서 범죄에 이용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검찰은 대출모집인들이 대출 등 영업 목적으로만 개인정보를 사용했고, 외부로 유출하진 않아 범죄에 이용됐을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최근 KT 홈페이지가 해킹당해 1200만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됐고, 이 정보는 휴대전화 개통·판매 영업에 실제 활용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민들의 분노도 높아진 상태다.

조남희 금소원 대표는 "그동안 2차 피해는 없다고 해온 금융당국 주장이 얼마나 허구였는지 보여줬다"며 "금융위원장을 비롯한 관련자들은 국민 앞에 사죄하고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금융당국은 위기 때마다 수사 당국 조사에만 의존하고, 금융사를 앞장 세워 책임을 모면했다"며 "국민들을 기만한 데 대해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