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저금리 대출 미끼 사기형 문자‧전화 횡행…민생 침해 경보 발령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3-18 14:2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최수연 기자 = "서울시에서 알려드립니다. 최근 시민들 대상으로 저금리를 미끼로 한 대출사기 문자, 전화가 횡행하고 있습니다. 불법 대부업체들이 OO은행, OO캐피탈, 행복기금 등을 가장한 문자‧전화를 발송해 3~5% 저금리로 돈을 빌려준다고 유인한 뒤 계좌‧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를 빼내거나, 수수료 명목으로 선금을 챙기고 잠적합니다. 대출관련 문자나 전화를 받으시면 절대 응하지 말고 ☎118번으로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는 서민들을 유혹하는 저금리 대출사기가 횡행함에 따라 18일 오전 11시 ‘저금리 대출사기 주의’ 민생침해 경보를 발령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자료에 따르면 대출사기 관련한 스팸은 올해 1, 2월 동안 약 20만 건, 대출사기 보이스피싱은 약 4,800건 발생했으며, 저금리 대출을 미끼로 하는 내용이 많았다.

주로 불법 대부업체들이 대출을 이용하는 개인정보를 활용해 문자나 전화로 ‘OO은행, OO캐피탈, 행복기금 등 시중금융기관을 사칭해 3~7%대의 낮은 금리로 대출을 해주겠다고 시민들을 현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대출사기 문자나 전화를 받고 연락 할 경우 △3~7% 저금리로 돈을 빌려준다고 유인한 뒤, 계좌‧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를 빼내는 사례 △수수료 명목의 선금을 챙기고 잠적하는 사례 △현재는 신용도가 낮으니 처음 한두 달만 고금리 대출을 받으면 이후부터는 저금리로 전환시켜준다고 속이고 대출을 받게 한 후, 중개업자가 잠적해 연 39%(대부업법상 최고이율)의 높은 이자를 갚아야 하는 사례 등이 속출했다.

원치 않는 대출관련 스팸이나 전화를 수신한 시민들은 한국인터넷진흥원 ☎118번으로 신고하면, 해당 번호의 문자를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팸이나 전화로 이미 대출사기 피해를 당한 시민은 서울시 민생침해 신고시스템 ‘눈물그만’ (economy.seoul.go.kr/tearstop) 또는 120 다산콜센터로 신고하면 서울시 민생대책반이 해당 대부업체를 점검해 가능한 범위 내에서 피해를 구제한다.

정광현 서울시 민생경제과장은 “서울시는 앞으로도 다양한 지능형‧사기성 민생침해 사례를 발 빠르게 파악해 시 홍보매체를 총 동원해 시민 피해 예방을 위한 경보를 지속적으로 발령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