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서민들을 유혹하는 저금리 대출사기가 횡행함에 따라 18일 오전 11시 ‘저금리 대출사기 주의’ 민생침해 경보를 발령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자료에 따르면 대출사기 관련한 스팸은 올해 1, 2월 동안 약 20만 건, 대출사기 보이스피싱은 약 4,800건 발생했으며, 저금리 대출을 미끼로 하는 내용이 많았다.
주로 불법 대부업체들이 대출을 이용하는 개인정보를 활용해 문자나 전화로 ‘OO은행, OO캐피탈, 행복기금 등 시중금융기관을 사칭해 3~7%대의 낮은 금리로 대출을 해주겠다고 시민들을 현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대출사기 문자나 전화를 받고 연락 할 경우 △3~7% 저금리로 돈을 빌려준다고 유인한 뒤, 계좌‧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를 빼내는 사례 △수수료 명목의 선금을 챙기고 잠적하는 사례 △현재는 신용도가 낮으니 처음 한두 달만 고금리 대출을 받으면 이후부터는 저금리로 전환시켜준다고 속이고 대출을 받게 한 후, 중개업자가 잠적해 연 39%(대부업법상 최고이율)의 높은 이자를 갚아야 하는 사례 등이 속출했다.
원치 않는 대출관련 스팸이나 전화를 수신한 시민들은 한국인터넷진흥원 ☎118번으로 신고하면, 해당 번호의 문자를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팸이나 전화로 이미 대출사기 피해를 당한 시민은 서울시 민생침해 신고시스템 ‘눈물그만’ (economy.seoul.go.kr/tearstop) 또는 120 다산콜센터로 신고하면 서울시 민생대책반이 해당 대부업체를 점검해 가능한 범위 내에서 피해를 구제한다.
정광현 서울시 민생경제과장은 “서울시는 앞으로도 다양한 지능형‧사기성 민생침해 사례를 발 빠르게 파악해 시 홍보매체를 총 동원해 시민 피해 예방을 위한 경보를 지속적으로 발령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