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2003년 이후 손질 생선 판매를 원칙으로 하던 것을 생선 원물 그대로 진열하는 포구직송 수산매장으로 탈바꿈시켰다.
이마트 측은 지난해 하반기 일본 방사능 우려로 수산물 소비가 크게 위축된 가운데 원물 생선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감안해 이같은 진열 방식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 하반기 이마트의 수산물 매출은 전년 대비 7% 감소한 반면, 포구직송 매장을 운영하는 해운대점·금정점의 경우 매출이 10% 넘게 증가했다.
또 산지에 위치한 매장임에도 고등어·가자미·조기 등 원물 진열 상품 매출이 이마트 점포 가운데 1~5위를 기록했다.
이에 이마트는 부산 등 수산물 산지에서만 운영하던 생선 원물 진열 매장을 최근 수도권 주요 점포 매장으로 확대했다.
지난 2월 성수점·자양점·남양주점·고잔점에 도입한 데 이어, 이날 가양점·분당점·역삼점·양재점에 추가로 선보였다.
포구직송 매장은 해당 수산물 물류와 진열 시간을 최소화해 신선도 향상은 물론,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손질 후 구매가 가능하다. 수도권의 포구직송 매장의 상품은 매일 아침 산지 경매 후 다음날 이마트 매장에 진열된다.
최진일 이마트 수산팀장은 "지난해 수산물 매출이 크게 감소했지만 산지 직송으로 생선 원물을 진열했던 매장은 오히려 매출이 늘었다"며 "소비자가 신선도를 직접 보고 구매할 수 있도록 원물 그대로 진열하는 포구직송 매장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마트는 활전복·주꾸미·코다리 등 수산물 행사를 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