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30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야당도 '새민련'으로 이름을 바꿔 출발하는 만큼 당파적 이익을 내려놓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앞서 28일에는 최경환 원내대표 또한 상임전국위원회 인사말에서 "야당은 지방선거용 급조 정당인 새민련을 만들었다"면서 '새민련'이라는 약칭을 사용했다.
그러자 새정치민주연합은 "새정치민주연합이라는 정식 당명을 쓰고, 필요할 경우 '새정치연합'으로 약칭해 달라. 세글자로 줄여야 한다면 '새정치'라고 쓰는 것은 무방하다"고 공식 요구했다.
박광온 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일부 언론과 정당이 당명과 약칭을 임의로 사용하는 데 유감을 표명한다"며 "이름은 당사자의 의사가 존중돼야 한다. 임의로 부르는 것은 사회적 약속을 거부하는 것이며 예의도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대한민국을 '대민국'이라고하거나, 대통령을 '대통' 혹은 '대령'으로 부르지 못한다. 마찬가지로 새누리당을 '새누당', '새리당', '새당' 이라고 줄이는 것도 용납되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약칭 논란은 2003년 열린우리당 출범 당시에도 불거진 바 있다.
당시 한나라당은 '열우당'이라고 불렀으며, 열린우리당은 '우리당'이라고 호칭해 줄 것을 요구헤 갈등을 빚은 바 있다. 특히 한나라당 일부 인사들은 '우리당'을 영어식으로 '워리당'이라고 말해 열린우리당측의 반발을 일으키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