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통계에 따르면 2013학년도 문과계열 수능 응시생은 33만7134명, 문과계열 대학정원은 15만4227명으로 응시생 대비 경쟁률은 2.19대1이었다.
그러나 같은 해 이과계열 수능 응시생은 23만5946명, 이과계열 대학정원은 15만480명으로 응시생 대비 경쟁률이 1.57대1인 것으로 나타나 문과계열 경쟁률보다 낮았다.
신 의원은 “이과계열에 비해 대학 진학의 좁은 문을 통과해야 하는 문과계열 학생은 취업률에서도 이과계열 학생에 비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교육부의 ‘전국 4년제 대학정원·취업률’ 자료를 보면 문과계열에 해당하는 인문계열(47.8%), 사회계열(53.7%), 교육계열(47.5%)의 취업률은 이과계열에 해당하는 공학계열(67.4%), 자연계열(52.5%), 의약계열(71.1%)보다 낮게 조사됐다.
신 의원은 “학문 간 융합이 중요시되는 세계적 추세에서 인문계 약세가 국가경쟁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까 우려된다”며 “교육부는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