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무조건식 정책에 끌려가는 카드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4-08 08: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금융부 장슬기 기자.

아주경제 장슬기 기자 = 올해 초 발생한 1억여건의 개인정보 유출 사태로 카드사들은 사면초가에 놓였다.

그동안 수많은 정보유출 사건이 있었지만 이번 사태는 1억여건이라는 사상 최대 규모로 터지면서 카드사들이 금융권의 미운 오리가 된 셈이다.

사건 발생과 동시에 함께 뭇매를 맞은 금융당국은 카드사 길들이기에 돌입했다.

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모든 구멍을 차단해 사전 예방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때문에 기존에 금융당국이 추진했던 직접회로(IC) 방식의 카드 단말기 교체 작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전자 띠로 정보를 읽는 마그네틱(MS)카드의 단말기는 복제의 우려가 큰 만큼 보다 안전한 IC카드 사용을 촉진, 가맹점의 모든 단말기도 IC 방식으로 교체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최근 카드사 사장들을 긴급 소집, IC단말기 교체를 위한 1000억원의 기금을 조속히 조성할 것을 주문했다.

기존에는 단말기 교체 비용을 두고 카드사와 결제중간업체인 밴(VAN)사 등의 갈등이 있었지만, 죄인이 된 카드사는 당국의 지시에 끌려갈 수 밖에 없는 입장이 됐다.

게다가 오는 6월부터는 카드로 전자상거래 이용 시 공인인증서 없이도 결제가 가능해진다. 소비자들의 편의 도모와 함께, 금융회사들이 공인인증서 외의 보안수단을 자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갑작스런 정책 변화에 카드사들은 당황한 모습이 역력하다. 공인인증서 결제가 보편화된 현 상황에서 타 인증수단을 서둘러 도입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대규모 정보유출 사태 발생 및 수습국면이 이어지고 있지만 당국과 카드사간 소통부재는 사실상 가장 먼저 해결해야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강제성을 띤 정책에 억지춘향식으로 끌려가는 모습보다는 충분한 소통과 논의가 뒷받침된 후 예방책을 내놓는 것이 소비자들을 더욱 안심시킬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