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8일 대전 항공우주연구원에서 이 같은 골자의 '항공산업 수출산업화 촉진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김재홍 산업부 제1차관, 하성용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회장, 김승조 항공우주연구원 원장 및 항공 업계 등 관계자 30여명은 산업부의 정책 발표, 항우연의 무인항공기 동향, 업계의 애로ㆍ건의 토의 등 간담회를 가졌다.
산업부에 따르면 국내 항공산업은 지난해 12월 11억달러 규모의 T-50 이라크 수출 및 지난 3월 4억2000만달러 규모의 필리핀 수출 계약 등 본격 성장기에 진입했다. 특히 향후 3년간 세계 주요 민항기 제조업체로부터 115억달러 규모의 물량수주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산업부는 국내 항공업계의 수주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업계의 애로사항을 수렴하고, 관계기관 특별팀(TF)을 통해 5개 우선 지원정책을 선정ㆍ추진할 계획이다.
금융 분야에서는 무역보험공사의 '수출기반보험' 지원을 통해 장기적으로 항공산업에 특화된 맞춤형 금융상품을 마련키로 했다. R&D 분야에서는 △대형 물량 수주와 연계되는 유망 항공부품·기술 개발 △T-50 등 군용기 수출에 필요한 신규 개발 △민·군 공통 핵심기술 개발 등을 중심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김 차관은 “항공산업이 창조경제의 핵심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방안을 조속히 시행하고, 업계에서 건의한 사항도 검토하여 정부가 지원하겠다”며 “또 산업부가 15대 산업엔진 프로젝트로 추진 중인 틸트로터(수직이착륙의 일종) 무인항공기를 포함해 미래 항공기 기술개발에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