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2014년 해양관광진흥시행계획’은 이같은 복합적인 시대적 흐름을 통해 해양산업 활성화를 꾀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일단 제반적인 분위기는 갖춰졌다. 법정공휴일은 올해 67일로 12년 만에 최대 휴일수다. 징검다리 휴일, 대체공휴일제 시행 등에 따른 휴가일수 증가로 해양레저와 관광지를 찾는 인구 증가를 가져오고 있다.
경기회복 기대감도 해양관광의 시너지로 작용한다. 해양체험프로그램, 캠핑 등 가족단위 레저활동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 따르면 올해 해양관광 총량은 2억9000만일로 전년대비 약 6% 증가할 전망이다.
해외 관광객 유치에도 뛰어든다. 외국적 크루즈선박은 전년대비 21% 증가한 500회 입항 예정으로 90만명의 외래 크루즈관광객 유치를 예상하고 있다.
반면 일본·중국 등 주요국 관광객 유입은 감소 우려가 크다. 독도영유권 문제 등 외교적 마찰과 엔저 지속으로 방한 일본인 관광객 감소 추세 지속될 전망이다.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방한 일본인 관광객수는 253만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23.1% 감소했다.
방한 중국관광객도 지난해 10월 여유법(旅遊法)이 시행됨에 따라 한국 여행상품 가격이 30% 이상 상승하면서 증가세 둔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처럼 해양레저 활동 인구 증가가 예상되고 있지만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도 크다. 지난해 7월 태안 해병대 캠프사건 이후 단체 해양레저활동 위축이 우려되고 안전조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해수욕장 등 주요 관광지에 대해 지자체, 해경 등 관계기관과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 및 대응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해양레저스포츠 체험프로그램의 차질 없는 운영을 위해 안전요원 배치 의무화 등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며 “세부 추진과제의 제도적 기반 마련과 시행의 근간이 되는 기본대책 수립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