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과 관련, 검찰이 은행의 무혐의로 결론을 지었지만 은행들이 키코의 위험성을 알고서도 판매했다는 정황이 2010년 작성된 수사보고서에 의해 포착됐기 때문이다.
8일 키코(KIKO)피해기업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는 민주당 정세균ㆍ김영주ㆍ서영교 의원과 공동으로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양재하 공동위원장은 키코사건에 대한 검찰의 수사보고서 일부를 공개하며, 검찰의 키코 수사기록 일체 공개 및 재수사 및 금융감독당국에 대한 감사원 감사를 촉구했다.
이날 공개된 자료는 2010년 검찰이 키코 상품을 판매한 시중은행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작성한 수사보고서의 일부다. 이 중에는 SC제일은행 내부직원간의 통화내역이 담겨 있다.
2008년 1월 8일 녹취록에는 '옵션상품이 이렇게 위험한 상품인 줄 확실히 깨달았다'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또 '그래도 4만 5000불 이상 남는다', '다른 은행들도 비슷하게 마진을 많이 땡긴다' 등의 언급이 있다.
공대위는 '키코 장기계약이 위험하지 않다'는 은행 주장 역시 허구라고 설명했다. 실제 녹취록에는 '씨티은행이 3년짜리 계약으로 많이 꼬시고 있다'는 내용의 대화가 담겨 있다.
공대위 측은 "오늘 공개한 자료는 빙산의 일각이다. 녹취록도 원본이 아닌 요약본"이라며 "키코 사태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검찰의 수사기록 일체 공개와 재수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