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신형 기자=새정치민주연합은 8일 “박근혜 대통령은 고삼석 방통위원 후보자 임명을 거부할 어떠한 명분도 없다”고 재가를 압박했다. 고 후보자는 야권이 신임 방통위원회 후보자로 추천한 인사다.
한정애 대변인은 이날 오후 서면브리핑에서 “고 후보자는 지난 2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여야의원 240인 중 217인의 동의를 얻은 인물”이라며 “ 다시 검토하라고 하는 것 자체가 입법부를 무시하고 3권 분립의 민주주의 정치를 부정하는 처사”라고 이같이 말했다.
이어 “박 대통령이 고 후보자에 대한 임명을 끝내 재가하지 않는다면, 방통위 조종을 통한 청와대의 언론장악 의도로 밖에 볼 수 없다”며 “방통위의 위상과 역할을 정부 스스로 무너뜨리고 있다”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고 후보자에 대한 자격 시비 문제로 국회 미방위(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파행이 더욱 장기화된다면, 그 책임 역시 정부 여당에 있음을 분명히 한다”며 “박 대통령은 독립기구인 방통위의 위상과 역할을 위해 어떠한 간섭과 개입도 하지 않겠다고 천명하라”고 압박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최성준 신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공식 임명했다. 하지만 고 후보자에 대한 임명은 단행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국회 미방위 파행이 장기화될 전망이다.
한정애 대변인은 이날 오후 서면브리핑에서 “고 후보자는 지난 2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여야의원 240인 중 217인의 동의를 얻은 인물”이라며 “ 다시 검토하라고 하는 것 자체가 입법부를 무시하고 3권 분립의 민주주의 정치를 부정하는 처사”라고 이같이 말했다.
이어 “박 대통령이 고 후보자에 대한 임명을 끝내 재가하지 않는다면, 방통위 조종을 통한 청와대의 언론장악 의도로 밖에 볼 수 없다”며 “방통위의 위상과 역할을 정부 스스로 무너뜨리고 있다”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고 후보자에 대한 자격 시비 문제로 국회 미방위(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파행이 더욱 장기화된다면, 그 책임 역시 정부 여당에 있음을 분명히 한다”며 “박 대통령은 독립기구인 방통위의 위상과 역할을 위해 어떠한 간섭과 개입도 하지 않겠다고 천명하라”고 압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