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출신 퇴직 관료들이 해양 안전이나 운항을 담당하는 산하기관에 '낙하산'으로 내려가면서 관련업무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해운업계의 평가가 주를 이룬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21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선사를 대표하는 이익단체인 해운조합에서 (관리를) 해왔다는 것이 구조적으로 잘못된 것이 아니겠느냐"며 "해양수산 관료 출신들이 38년째 해운조합 이사장으로 재직하고 있는 것은 서로 봐주기 식의 비정상적 관행이 고착되어 온 것이 아닌지에 대해서도 밝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수부 퇴직관료들은 보안공사 사장 등의 자리를 제외하면 사실상 모든 자리를 독식하고 있다. 이번에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된 한국선급, 한국해운조합 등 유관기관장 자리도 해수부 퇴직 관료들의 몫이다.
임기택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1984년 사무관 특채로 공직에 입문한 뒤, 해수부에서 홍보관리관, 안전관리관 등을 역임했다. 국토해양부에서는 해사안전정책관,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 등을 맡은 뒤 2012년 부산항만공사 사장에 취임했다.
김춘선 인천항만공사 사장은 인천지방해양수산청장, 국토해양부 물류항만실장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이후 2012 여수세계박람회조직위원회 기획조정실장을 거쳐 2011년 인천항만공사 사장에 올랐다.
선원표 여수광양항만공사 사장은 해수부 감사관 출신이다. 이후 1급인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을 역임한 뒤 올해 사장에 취임했다.
박종록 울산항만공사 사장은 행시 25회로 공직에 입문, 해수부에서 국제협력담당관, 해양환경기획단장 등을 역임했다. 이후 국토해양부 해양정책국장을 거쳐 2011년 사장에 취임했다.
곽인섭 해양환경관리공단 이사장은 국토해양부에서 물류정책관, 물류항만실장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2011년 공단 이사장에 올라 벌써 4년째다.
정형택 해양수산원장은 1985년 공무원 특채로 공직에 입문한 인물. 해수부와 국토해양부에서 해사안전정책팀장, 중앙해양안전심판원 심판관 등을 역임했다.
류영하 항로표지기술협회장은 해양수산부 총무팀장, 연안계획과장을 역임하고 2011년 이사장에 취임했다.
14곳의 공공기관장 자리 중 2곳은 해수부 산하 국립연구소 출신들이 수장을 맡고 있다.
강영실 수산자원관리공단 이사장은 국립수산과학원, 강정극 해양과학기술원장은 한국해양연구원 출신이다.
해수부와 연관이 없는 산하 기관장은 연규용 부산항보안공사 사장, 최찬묵 인천항보안공사 사장 등 2명 뿐이다. 그러나 이들은 대통령실 경호처 출신이다.
해수부 퇴직관료들은 한국선급, 한국해운조합 등 해양 안전 및 운항을 담당하는 민간기관에도 진출해 있다.
한국해운조합은 해수부 관료들의 대표적인 '재취업' 자리다.
현직인 주성호 이사장 등 지금껏 12명의 이사장 중 10명이 해수부 출신이다.
정부에서 선박 검사를 위임받은 한국선급도 해수부 퇴직 관료들이 자리를 꿰차고 있다. 1960년 출범한 민간 사단법인이지만 11명의 회장 중 8명이 해수부 관료 출신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