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천안함 수중 수색 중 순직한 한주호 준위 때와 같은 비보가 나오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세월호 침몰사고 발생 8일째인 23일 구조·수색 작업을 위해 투입된 민·관·군 합동구조팀 잠수사 10명이 마비 증세와 피로 누적 등을 보여 청해진함과 평택함 내에 마련된 체임버에서 감압 치료를 받았다.
지난 22일에는 해군 UDT 소속 A상사가 두통과 팔 마비 증상을 호소해 상당 시간 감압 치료를 받기도 했다.
이후 잠수사가 압력이 낮은 수면으로 급상승하면 질소가 부풀어 올라 핏줄을 막으며 마비와 구토, 관절통, 난청 등을 유발하는 것이다. 기포가 뇌혈관이나 척수를 막으며 심장마비, 호흡 곤란 등을 일으켜 사망할 가능성도 있다.
잠수병 환자의 경우 체임버에 넣고 최소 2시간 동안 고압산소를 공급해 체내에 쌓인 질소가 호흡을 통해 배출되도록 해야 한다. 체임버 시설은 보통 잠수병 예방과 휴식을 위해 만들어진 장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