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환경관리기술 개발 추진…'200억원 투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4-24 15:2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CCS 기술개발 착수

  • CCS 환경관리연구단 출범…2017년까지 200억원 투자

[이산화탄소 지중저장(CCS) 환경관리연구단 개요]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환경당국이 온실가스의 대표적인 기체인 이산화탄소 지중저장(CCS) 사업과 관련한 포집·환경영향·위해성 탐지 등 환경관리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CCS 상용화에 대비한 환경관리기술 확보에는 2017년까지 총 200억원이 지원된다.

환경부는 CCS사업의 환경관리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25일 ‘CCS 환경관리연구단’이 출범한다고 밝혔다. CCS(Carbon Capture & Storage)란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인위적으로 포집해 지중에 저장하는 사업을 말한다.

환경부는 지난 2010년 7월 작성한 '국가 CCS 종합추진계획'과 올 1월 작성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로드맵'에 따라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지중에 저장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영향을 탐지·평가·관리할 수 있도록 돼 있다.

이산화탄소를 포집·운반·지중에 저장하는 분야의 기술 개발은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의 부처가 맡게 된다.

이번 연구단은 고려대학교가 주관하고 복수의 대학·기업·연구소·관계 전문가 등이 공동으로 참여한다. 환경부는 CCS 상용화에 대비한 환경관리기술을 확보를 위해 2017년까지 4년간 총 2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산업부는 이달 초 일부발전소에 CCS 플랜트를 건설, 가동 중이다. 환경부는 산업부의 CCS 플랜트 건설과 미래창조과학부의 CCS 실제사업이 2년 후부터 본격화될 것을 대비해 각 부처별 기술개발과 연계한 CCS의 환경안정성 확보를 올해부터 착수하고 관련 법·제도에 반영할 계획이다.

CCS의 환경안정성 확보는 이산화탄소의 누출 모니터링 기술, 토양·지하수·식생·생태계 환경영향 평가기술 등을 개발하는 일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CCS 환경관리연구단’에 2017년까지 4년간 총 200억원을 지원해 이산화탄소의 누출 모니터링 기술, 토양·지하수·식생, 생태계 환경영향 평가기술 등을 개발할 것”이라며 “CCS 상용화에 대비한 전주기(全週期) 환경관리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