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장관은 이날 용산 국방컨벤션에서 가진 언론사 편집·보도국장과의 간담회에서 "북한은 결심만 하면 바로 실험할 수 있는 단계"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하지만 "북한은 심리전에 아주 능하다"면서 "그래서 (핵실험을) 의도적으로 지연시킬 가능성과 기만전술을 병행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김 장관은 또한 "북한을 통제할 수 있는 중국도 북한의 4차 핵실험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며 "국제사회도 북한의 핵실험은 안 된다는 의지가 강하다"고 전했다.
이는 북한이 중국의 경고에 신경을 쓰고 있고 4차 핵실험 강행 시 몰고 올 파장을 인식하고 있는 만큼 당장 핵실험이라는 선택보다 숨고르기에 들어갈 수도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김 장관은 "북한은 핵을 가지려는 이념이 있기 때문에 이를 놓치기 싫을 것"이라며 "(핵을) 상당 수준 발전시키지 않았겠느냐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또 이날 '무인기 3대 모두 북한지역에서 발진했다'는 국방부 발표와 관련해 "북한군 교리에 '기묘하고 영활한 수법'이란 말이 있는데 이는 심리적으로 약점을 파고들어 상대방을 놀라게 한다는 뜻"이라며 "무인기도 비대칭 전력"이라고 지적했다.
북한의 EMP(전자기 충격파)탄 개발 가능성에 대해서는 "미래 신무기 중 하나인 EMP를 개발했다고 확인한 나라는 어느 곳도 없다"면서 "북한이 EMP탄을 보유했다고 하는 평가는 시기상조이며 연구하고 있을 것으로 평가한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지난달 29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에서 실시된 북한의 포사격훈련에 대해 우리 군이 미온적으로 대응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무력시위성 도발에 대해 원점을 타격한다면 국제적으로 명분도 없고 한미간 갈등도 있을 수 있다"면서 "만약 백령도 영내에 떨어졌다면 원점을 타격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최근 잇따라 적발된 성 군기 위반 사건에 대해 "성 군기 위반 사건이 발견되고 노출되면 무관용 원칙으로 다스리고 있다"면서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무관용 원칙을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