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지사 원희룡)는 올해 주요 월동채소류 10개 품목에 대한 파종시기를 앞두고 1차 재배의향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해보다 2.4%가 감소했다고 6일 밝혔다.
재배면적이 줄어든 품목으로는 마늘 10%↓, 양파 3.4%↓, 월동무 2.1%↓, 콜라비 3.4%↓, 양배추 4%↓, 적채 9.4%↓ 등 6개 품목으로 전국적인 과잉생산과 AI 등에 의한 소비부진으로 가격이 하락한 품목들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반면 늘어난 품목으로는 쪽파 8%↑, 당근 1.5%↑, 가을배추 1.9%↑, 브로콜리 6.7%↑ 등 4개 품목이며, 지난해 가격이 타품목에 비해 비교적 안정세와 유통처리가 원활한 쪽파, 브로콜리 등이 포함됐다.
마늘의 경우 잎마늘은 지난해 115㏊→올해 92㏊, 20%의 감소 재배의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구마늘인 경우 올해산 2635㏊, 다음해 2385㏊로 10%나 감소 의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올해 마늘수매 가격이 지난해 상품기준 kg당· 2700원→kg당· 1750원으로 수매 가격이 낮고,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데 비해 인력확보에 어려움 등이 이유로 나타났다.
월동무는 지난해 4575ha→올해 4479ha로 2.1%가 줄어들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12월부터 출하를 시작, 올 4월말까지 출하된 월동무 가격이 평년가격 18kg당· 7~8000원에 크게 못미치는 18kg당· 4~5000원에 도매시장 가격이 이루어진게 주요 감소 요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함께 양배추는 지난해 1799㏊보다 4%감소한 1727㏊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관측결과로는 육지부 가을양배추가 4%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도내 양배추 재배농가들의 적정생산량 재배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늘어난 이유?
우리나라 당근 생산량 66%를 점유하는 ‘제주당근’은 지난해 1505ha보다 1.5%가 늘어난 1527ha로 조사됐다. 이같은 조사결과는 최근 5년간 평년면적 1427㏊보다 7%나 늘어난 것으로, 타품목에 비해 비교적 가격 안정세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도 관계자는 “자주 되풀이되는 월동채소의 수급불안 해소 및 농업경영 안정을 위해 해마다 2회 실시하는 재배의향 조사를 활성화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일부 작목에 집중되고있는 월동무, 양배추, 당근 등에 대해서는 작목분산에 따른 다품목 소량생산 체제 구축과 맥류재배 지원방안 도입 등 월동채소류 적정생산으로 농가 소득이 안정화 되도록 모든 행정력을 모아 총력을 다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