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가계부채가 소비 부진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한 가구가 벌어들인 소득 중 얼마를 소비·지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 평균소비성향이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0년 77.3이었던 평균소비성향은 2011년 76.7, 2012년 74.1, 지난해에는 73.5까지 떨어졌다. 반면 같은 시기 가계 흑자율은 2010년 22.7%에서 2011년 23.3%, 2012년 25.9%를 기록한 뒤 지난해에는 26.6%까지 올랐다. 평균소비성향과 정반대의 양상을 보인 것이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해 빚을 갚고 저축을 늘리면서 가계흑자율은 증가했지만 정반대로 소비 부진을 가져온 것이라고 분석했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과거에는 부채가 가계의 예산 제약을 완화하면서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를 냈지만 최근 들어 부채비율이 높은 수준에 달하고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면서 가계부채가 소비를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가계에서 부채를 정리해 빚을 줄이려는 '디레버리징'이 본격화하면 소비억제 효과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가계부채 관리와 가계소득 향상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며 취약계층의 소득 창출을 지원할 정책이 요청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