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 업계 '최초' IC단말기 개발 경쟁…가맹점 혼란 우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8-24 0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한국정보통신]


아주경제 장슬기 기자 = 정부가 가맹점의 IC단말기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 선점을 위한 밴(VAN)사들의 단말기 출시 경쟁이 치열하다. 하지만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황에서 각 사별로 상이한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어 향후 가맹점의 혼란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4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가 올 초 발표한 개인정보 유출 재발방지 종합대책에 신용카드 결제정보가 안전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IC단말기 사용 확대가 포함됐다.

기존 사용되던 마그네틱(MS)카드는 복제 가능성이 있어 보다 보안이 뛰어난 IC카드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가맹점에서도 IC카드 결제를 의무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대형 가맹점은 올해 안에, 영세 가맹점은 내년 말까지 기한을 두고 시범사업을 진행하며, 오는 2016년에는 전 가맹점에서 IC카드로만 결제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밴 업계 시장점유율 1위인 한국정보통신은 다음달 1일부터 포스단말기 전용 IC리더기를 출시키로 했다. 이는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포스리더기에 IC 뿐만 아니라 MS방식의 카드 결제도 가능토록 한 복합형 리더기로, 업계 최초라는 설명이다. 이 단말기는 카드리더기에서 카드정보를 암호화하는 엔드-투-엔드(End-To-End) 방식을 적용했다.

나이스정보통신의 계열사인 KIS정보통신도 카드번호를 암호화하는 'Safe MSR 시스템'을 업계 최초로 구축, IC카드를 기본으로 인식하는 결제시스템을 적용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아모레퍼시픽의 토탈 뷰티 솔루션 매장인 아리따움에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이들 밴사들이 개발한 IC단말기는 카드정보를 암호화한다는 보안 방식은 같지만 카드결제 슬롯이나 기타 시스템 부분은 조금씩 상이하다. 게다가 공식적으로 금융당국이 지정한 IC단말기 보안 표준이 아직 나오지 않아 출시된 단말기들이 이에 부합하는 지 확인하는 것도 과제로 남아 있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밴사들이 금융당국과 여신금융협회가 지정한 IC단말기 표준에 100% 부합하는 단말기를 구축하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향후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IC단말기 사용을 금지하는 법 개정이 이뤄질 경우 현재 나와있는 단말기들의 보완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IC단말기 전환 의무화를 앞두고 시장 선점을 위한 밴사들의 치열한 경쟁이 향후 가맹점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밴사들은 자사의 IC단말기 홍보를 위해 각 시스템에 '최초'라는 타이틀을 남발한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단말기를 출시하면서 '최초'라는 수식어를 붙여 홍보하는 경향이 있지만 대체적으로 사용되는 단말기 보안시스템은 같은 방식이며, 단지 단말기 종류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 뿐"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각 사별로 통일되지 않은 단말기들이 중구난방으로 출시될 경우 가맹점 입장에서는 혼란을 느낄 수 있다"며 "게다가 기존 가맹점들은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단말기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밴업계에서는 최대한 완성도가 높은 단말기를 가맹점에 공급하는 것이 맞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