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21개월째 2% 미만…1965년 이후 처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8-24 09:5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일본 답습우려…"구조조정으로 성장잠재력 올려야"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1개월째 2% 미만에 머물고 있다. 1965년 관련 물가 통계작성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이에 한국의 낮은 물가 상승률은 일본식 장기불황의 신호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2년 6월부터 26개월 연속으로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2.5∼3.5%)를 밑돌고 있다.

지난해 10월 전년동기대비 0.9%로 최저점을 찍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들어 2월 1.0%, 3월 1.3%, 4월 1.5%에서 5월과 6월 1.7%로 점차 우상향 곡선을 그리다 지난달 다시 1.6%로 주춤한 상황이다.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다고는 해도 여전히 1%대를 벗어나지 못하며 저물가 흐름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에도 물가상승률이 1%대 이하를 기록한 기간은 1999년 1월부터 2000년 2월까지 14개월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내수 부진의 골이 워낙 깊어 물가 상승률이 1%대 중후반 이상을 오르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당초 올해 평균 물가상승률이 2.3%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가 하반기로 들어서면서 1.8%로 하향조정했다.

물가 상승률은 너무 높아도 문제이지만 통상 2~3% 정도 선은 유지해야 경제의 활력을 유지할 수 있다.

저물가가 장기간 지속되면 상품 가격이 하락할 것을 우려해 소비와 투자가 부진해지고 자산 가격 거품 붕괴까지 동반하면서 디플레이션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이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을 답습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일본의 경우 1990년 이후 장기적으로 물가가 하락하는 디플레이션에 접어든 뒤 만성화된 경기 침체에서 쉽사리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저성장 기조도 장기화 한지 오래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앞서 내수 부진의 골이 깊어지면서 저성장과 저물가, 과도한 경상수지를 기반으로 하는 거시경제의 왜곡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현 상황을 조속히 반전시키지 못하면 성장과 물가, 수출과 내수, 가계와 기업이 모두 위축되는 축소 균형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오정근 아시아금융학회장은 "고질적인 수요 부족 등 한국은 이미 절반 이상 일본을 닮아가고 있다"면서 "단기적으로 확장적 재정·통화정책을 구사하고 규제 개혁과 구조조정을 병행해야 성장 잠재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와 일부 전문가들은 디플레이션까지 갈 정도로 물가 상황이 나쁘지는 않다고 보고 있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지난해 낮은 물가에 대한 기저효과, 농산물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에 따라 물가 상승폭이 점차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최근 물가를 낮춘 요인은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의 안정과 농산물의 이례적으로 양호한 작황이라 앞으로는 올라갈 여지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기본적으로 내수 회복이 아직 불확실하고 환율도 절상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커서 올해 하반기나 내년에도 큰 폭으로 높아지진 않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