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전기와 도시가스, 상수도 사용량을 기준 사용량 대비 5% 이상 절감했을 경우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하는 탄소포인트제를 시행 중이다.
탄소포인트제는 지난 6월 말 현재 421만6000가구가 탄소포인트제에 가입해 전국 1848만6000가구의 22.8%가 참여하고 있다.
반기별 약 24%인 98만3000여 가구가 현금, 상품권, 관리비·지방세 납부, 그린카드 포인트 제공 등 탄소포인트에 대한 인센티브를 지급받아 왔다.
이에 따라 오는 9월부터는 탄소포인트제 참여자 전출·입 정보가 안행부(주민정보시스템)와 환경부(탄소포인트제 운영시스템) 간에 공유돼 주소변동 사항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환경부가 탄소포인트제 참여자 목록을 안행부에 보내면 안행부는 해당자 전출·입 정보를 주기적으로 환경부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담당공무원이 전출·입 여부를 수작업으로 일일이 확인할 필요가 없어 인센티브 지급을 위해 소요됐던 지자체당 연간 37일 업무시간이 기관 간 협업을 통해 일시에 해소되는 성과를 거둘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1가구당 주소 변동사항을 확인하고 시스템에 입력하기 위해서는 평균 2분이 소요돼 전국적으로 총 8432일의 업무시간이 필요했다.
김성렬 안전행정부 창조정부조직실장은 “지속적으로 국민 중심의 문제 해결형 협업 성공사례를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