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9/16/20140916143929513342.jpg)
[사진=최교진 세종교육감이 혁신학교 운영 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아주경제 윤소 기자 = 내년 세종시에 4개의 혁신학교가 지정・운영된다. 또 세종시 전체 학교의 10% 수준으로 혁신학교가 운영될 수 있도록 대상 범위를 연차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최교진 교육감은 16일 세종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언론 브리핑을 갖고 이 같은 세종혁신학교 운영 등 3개 세부이행과제에 대한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오는 10월부터 세종혁신학교 설명회 등을 통해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이해와 공감대를 형성하고 11월 말에 혁신학교 4개교를 최종 선정키로 했다.
또한, 세종혁신학교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지역 실정에 맞는 정책 연구를 올해 말까지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혁신학교 전담 부서 신설’을 골자로 한 교육청 조직 개편을 단행하기로 했다.
학교 평가 개선은 초・중등교육법 및 동 법 시행령에 따라 실시하고 있는 각급학교 학교평가를 실시 함으로써 자율권을 단위학교에 대폭 부여해 교육의 자율성과 책무성을 높일 계획이다.
따라서 올해 학교경영 및 교육과정, 교수・학습 운영에 초점을 두고 학교평가 공동지표를 10개 내외로 축소, 내년부터 학교자율평가를 혁신학교에 시범 적용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2016년부터 모든 학교에 확대・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현재 세종시 전체 학교의 45%에 달하는 연구학교를 연차적으로 축소해 그 비율을 2018년까지 10%대로 낮추기로 했다.
각종 학생 경시대회는 내년부터는 전국대회 출전을 위한 시 예선 및 페스티벌 형태의 대회만 운영하기로 했다.
특히, 폐지되는 대회의 경우 학생 대다수가 참여할 수 있는 학교별 자체대회를 권장하고, 계속 추진되는 대회에 대해서도 운영 결과를 점검・분석해 문화제나 축제 등의 형태로 바뀔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최 교육감은 “지금 교육계는 한국 교육사에서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현상에 고무돼 있다”며 “학부모로부터 신뢰 받지 못해 사교육에 압도됐던 공교육이 제 기능을 찾는데 혁신학교가 그 중심에 설 것” 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