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바이오연구부 정순문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바람에 흔들리는 보리에서 착안해 미케노발광 재료(ZnS, 황화아연)와 고무의 혼합물을 파이버 형태로 제작해 바람에 의해 이미지가 발광하도록 했다.
연구팀은 온백색(백열등)부터 청백색(형광등)까지 다양한 색 온도의 백색 미케노발광을 구현함으로써 미케노발광이 다양한 색의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자연 상에 존재하는 바람 에너지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구동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상용화가 된다면 최근 대두되고 있는 환경 위기 및 자원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에너지·환경 분야의 학술지 '에너지와 환경과학(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최신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됐으며 영국 왕립화학회가 발간하는 화학 관련 소식지 '케미스트리 월드'에도 소개됐다.
정순문 선임연구원은 "미케노발광 디스플레이는 수백 년 동안 난제로 여겨지던 미케노발광 원천기술의 원리를 밝히고 디스플레이에 적용한 것에 의의가 있다"며 "외부 전력없이 디스플레이를 가동할 수 있어 에너지 및 환경 문제와 접목하는 새로운 친환경 기술"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