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광효 기자=하루 우유 세 잔 이상을 마시면 조기사망 위험이 2배나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가운데 우유의 어떤 성분이 인체에 유해한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8일(현지시간)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이날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 등은 하루 우유 세 잔 이상에 대해 스웨덴 웁살라대학의 칼 마이클슨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지난 20년 동안 여성 6만1000명과 11년 동안 남성 4만5000명을 추적 조사한 연구결과를 전했다.
하루 우유 세 잔 이상 마시는 사람은 심장병 등으로 사망할 위험이 그보다 적게 마시는 사람보다 높았고 특히 하루 우유 세 잔 이상 마시는 여성은 조기사망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사람의 2배나 됐다. 하루 우유 세 잔 이상은 680㎖ 정도다.
이런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갈릭토제’라는 우유에 있는 당 성분에 주목하고 있다.
‘갈릭토제’가 인체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동물실험에서 체내 화학 물질의 불균형이나 염증을 초래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하루 우유 세 잔 이상 마시면 조기사망 위험이 증가하는 것이 사실이라면 그 주범은 ‘갈릭토제’일 것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갈릭토제는 요구르트와 치즈 등 우유를 발효시킨 제품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루 우유 세 잔 이상에 대해 앞서 코넬 대학의 콜린 캠벨 교수는 ‘남성의 우유 소비량과 전립선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거의 비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하루 우유 세 잔 이상에 대해 하버드 의과대학은 “우유 섭취가 폐경 전 여성의 유방암 발병률을 높인다”고 밝혔다.
하루 우유 세 잔 이상에 대해 네티즌들은 "하루 우유 세 잔 이상, 앞으론 한 잔으로 줄여야겠다", "하루 우유 세 잔을 마시는 대신 치즈나 요구르트를 먹으면 되겠네" 등의 반응을 나타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