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토론회에선 2004년 한·칠레 FTA 발효를 시작으로 미국·유럽연합(EU)·호주·중국 등 세계 주요 경제권 국가와 맺어온 FTA의 역사를 성찰하고 앞으로의 10년을 전망할 예정이다.
1세션에서는 박순빈 한겨레 논설위원의 사회로 △김양희 대구대 교수의 ‘한국 FTA 정책의 평가와 과제’ △최낙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무역이 고용 및 부가가치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와 정책과제’ △김종우 변호사의 ‘통상조약절차법의 문제점과 보완대책’ 등 발제와 지정토론이 진행된다.
2세션에서는 김양희 교수의 사회로 △손수석 경일대 교수의 ‘한·중FTA가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임정빈 서울대 교수의 ‘한국의 TPP가입, 농업부문의 쟁점과 과제’ △임영환 변호사의 ‘FTA 피해 부문에 대한 현황과 개선 방향’ 등에 관한 발제와 지정토론이 예정돼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