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1/29/20150129111947162273.jpg)
글로벌 오토가스 서미트 2015에서 홍준석 대한LPG협회 회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대한LPG협회]
아주경제 정치연 기자 = 유럽에서 최근 3년간 판매된 자동차 1만여 대의 연료별 배출가스를 비교 평가한 결과, LPG 차량의 친환경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LPG협회(협회장 홍준석)는 29일 서울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오토가스 서미트 2015'에서 이 같은 조사결과가 발표됐다고 밝혔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이후 3년간 유럽 내 판매된 차량(유로5 및 유로6 배출규제 만족) 1만대의 배출가스를 기후변화 대응, 인체 유해성, 스모그 영향, 산성도 등 4가지 항목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결과, LPG 차량의 환경성이 가장 높게 평가됐다. 배출가스 수치 자료는 독일연방자동차청(KBA)이 발표한 데이터를 근거로 해 분석됐다.
연구 수행자인 에릭 존슨 박사는 "LPG 차량은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휘발유 차량 대비 11% 낮으며,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은 경유 차량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최신 디젤 차량의 도로 주행시 인증기준 이상의 많은 배출가스가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ICCT(국제청정교통위원회)가 유로6 인증기준을 통과한 15대 최신 디젤차량의 실도로 주행시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시험한 결과, 평균 560mg/km로 유로6 인증기준 80mg/km보다 7배 많은 질소산화물을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악셀 프리드리히 전 독일연방환경청 국장은 "자동차 제작사들이 배출가스 인증치와 실제 도로 주행시 배출량의 차이를 좁힐 수 있도록 하는 규제 마련이 필요하다"며 "특히 유럽은 최신 디젤 차량에 대한 법적 규제 마련이 매우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자동차 배출가스의 건강 영향 및 운행차 배출가스 현황, △한국의 LPG 자동차 기술개발 △국가별 LPG 자동차 산업 현황 등 3개 세션에서 15편의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또 세계 최초로 국내 상용화 예정인 4세대 엔진 LPDI(LPG 직접분사) 기술 개발 현황 발표와 함께 현대차가 개발 중인 '쏘나타 터보 1.4 LPDI' 차량이 전시돼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LPG 직분사 차량은 기존 LPG 엔진 대비 연비가 10%가량 향상되고 온실가스는 10%까지 저감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