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는 5일 오후 2시 경상북도 어업기술센터에서 ‘2015년도 해양수산 시책 설명회’를 가졌다. [사진=경상북도 제공]
아주경제 최주호 기자 =경북도의 해양 분야 ‘소통행정’과 ‘협치 행정’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도는 5일 오후 2시 경상북도 어업기술센터에서‘2015년도 해양수산 시책 설명회’를 가졌다.
이번 설명회는 도의 해양수산부서와 수산업경영인연합회, 수산업협동조합, 수산단체 및 협회가 한자리에 모여 주요 시책의 설명과 사전에 배포된 현안사항에 대한 토론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담아내는데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
도는 전통 수산업이 생명과학 산업으로 해양·해운업은 물류, 관광․지식서비스 산업으로 구조가 빠르게 재편되는 등 환경변화에 대응해 수산업의 기술혁신과 해양 신산업의 육성 및 항만․물류 인프라 구축에 집중키로 했다.
시책 소개에 이어 토론에서는 ‘신동해안 해양수산 한마당 행사’와 ‘연근해 전통어업의 구조 재편 방향’, ‘마을어장 자원 조성방안’ 등의 안건이 집중 논의됐다.
설명회에 참석한 어업인 대표들은 한 목소리로 “상호 허심탄회한 의견 교환과 정보 공유의 기회가 마련된 것에 대해 매우 바람직하고 고맙다”면서, “어촌문제를 함께 걱정하고 머리를 맞댄 이 뜻 깊은 자리를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소통의 창구로 만들어 줄 것을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상욱 도 동해안발전본부장은 “이번 토론에서 제시된 의견은 도정에 최대한 반영하도록 하겠다”며, “앞으로도 수산업경영인연합회, 동해안 10개 수협, 채낚기협회 등 수산단체와 지속적으로 동반자적 협력관계를 통해 아이디어 발굴과 시책의 개발,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내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