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3/10/20150310081910422207.jpg)
정부가 대학의 유학생 유치를 지원하는 방안을 이달 중 발표할 예정이다. 최근 국내에서 열린 행사에 유학생들이 참가하고 있는 모습[사진=한국관광공사 제공]
10일 교육부에 따르면 대학 유학생 유치를 지원하는 신규 사업을 내년부터 추진하는 계획을 포함하는 유학생 유치 방안을 이달 중 발표할 예정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유학생 유치 방안을 부처 협의와 내부 보고를 거쳐 이달 말 발표할 예정”이라며 “신규로 내년부터 유학생 유치 대학을 지원하는 사업을 시작하는 내용도 포함된다”고 말했다.
내년부터 시작하는 유학생 유치 대학 지원 사업 규모는 예산당국과의 협의를 거쳐 결정할 예정이다.
유학생 유치 방안에서는 국내에서 생활하면서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 위한 유학생 정주 여건 개선, 비자 제도 개선 등 유학생 유치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변경도 추진한다.
중국 이외에 유학생 유치 지역을 다변화하는 방안도 모색한다.
정부가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은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신입생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남는 정원을 유학생을 유치해 대학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특히 지방대의 상황이 열악해질 우려가 있어 정부는 5년간 우수 외국인 유학생 3만명을 지방대에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기준 외국인 유학생 수는 8만4891명으로 2011년부터 4년 연속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외국인 유학생이 줄어들고 있는 것은 자격 조건이 2011년부터 토픽(한국어능력시험) 3급 이상으로 강화되고 유학생 인증제를 도입하는 등의 조치와 중국 등에서는 경제 수준이 상승하면서 미국, 유럽 등 영어권 국가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것이 원인으로 풀이되고 있다.
정부는 유학생 질 관리를 제도화하기 위해 2011년부터 도입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역량 인증제를 통해 유학생 관리의 모범적 기준을 제시하고 사증발급 심사기준 완화, 시간제 취업허가 시간 연장, 유학생 관련 재정지원사업 선정시 고려하는 등 혜택을 제공하는 한편 유학생 관리가 부실한 대학은 비자발급제한대학으로 선정해 비자발급을 제한하고 기존 유학생 관리 개선 노력을 강화하도록 하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 ASEAN 우수 이공계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한 지방대학 초청․연수를 새로 지원하고 재정지원 사업과 연계해 지방대학 간 공동 유치․활용 등 네트워킹을 통한 우수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확대할 계획이다.
지역 공동 기숙사, 상담센터 및 글로벌 라운지 등을 갖춘 글로벌 교류센터 건립도 확대해 경북과 2016년 완공 예정인 전북에 이어 신규로 1곳 추가 설립을 올해 추가 지원하기로 하는 등 권역별 외국인 유학생 서비스센터를 신설해 학업․생활상 애로사항에 대한 맞춤형 상담 지원으로 정주 여건을 개선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