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사상 노후공업지역을 산업, 주거, 상업, 생태 기능이 어우러지도록 재생하는 ‘스마트시티'의 밑그림인 재생사업지구 지정안 원안이 산업단지계획심의위원회에서 통과됐다고 8일 밝혔다.
재생사업지구는 사상구 주례, 감전, 학장동 일원 전용공업지역 302만1000㎡이며 기반시설, 지원시설 및 편의시설 확충·개량을 통해 경쟁력 있는 산업공간으로 재창출할 계획이다.
재생사업지구 지정안이 확정됨에 따라 사상 공업지역은 일반산업단지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하게 된다. 또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복합용지 수용, 첨단업종 변경 등으로 용도지역 변경이 용이해지고, 취·등록세 면제와 함께 지방세·재산세 등을 감면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업 및 지원시설 확충으로 산업단지 활성화가 기대된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4/08/20150408185534923410.jpg)
부산시 사상스마트시티 토지 이용 계획 조감도.[그래픽=아주경제 미술팀]
재생사업지구는 산업시설용지(57%), 복합시설용지(12%), 공공시설 (31%)로 계획돼 있으나 앞으로 재생 시행계획에서 민간사업자가 본 사업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토지이용계획수립 제안 시 변경도 가능하다.
또한 낙동강 둔치 접근성 제고를 위해 사상공단과 둔치를 연결하는 보행육교를 설치하는 한편 공업지대 주차난 해소를 위해 8개소의 노외주차장(1만9024㎡)을 설치할 계획이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북구와 사상·사하구 일대에 낙동강 리버프론트를 조성해 환경과 첨단지식산업 시설이 어우러지는 복합도시로 만든다는 공약을 밝힌 바 있다. 사상 스마트시티 사업이 실현단계에 이르면 이 일대 주민들은 지식산업단지와 문화 쇼핑은 물론 리버프론트까지 즐기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경험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시는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사업 조사 및 검토가 완료(8월 예정)되면 국비 20억원과 시비 20억원을 확보해 재생 시행계획용역을 실시하고,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기반시설 확충을 완료할 계획이다.
한편 부산시 사상스마트시티추진단은 이번 사업의 성공을 위해 지난 3월 4일 서부산개발국장을 중심으로 14개 부서 팀장급 이상 16명으로 구성된 ‘사상스마트시티 지원 협업팀’을 출범시켜 지금까지 현안 해결을 위한 협업팀 회의를 4차례 개최한 바 있다.
특히 사상스마트시티추진단장은 재생사업지구 지정 → 정부(KDI) 예비타당성 조사 → 재생시행계획(실시설계) 수립 용역 등 최소한의 행정절차 이행에 1년 6개월 이상 소요돼 단시간 내에 성과를 창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하고, 기본적인 행정절차는 법령에 따라 이행해 나가면서 즉시 사업시행이 가능한 지하차도 조성이나 낙동강 둔치 연결 데크사업 등을 우선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사업지구 내 개발 파급효과가 높은 1~2개 지구를 전략사업지구로 선정해 다양한 방식으로 민간자본을 유치, 민간이 주도적으로 개발해 나가도록 하는 한편 사업지구 내 공공용지를 적극 활용해 시민·기업들이 스마트시티 사업의 성과를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임경모 부산시 사상스마트시티추진단장은 "사상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은 민선 6기 서병수 시장의 공약사업일 뿐 아니라 ‘서부권 발전이 부산의 미래다’라는 서 시장의 시정철학이 담겨 있는 사업인 만큼 총력을 다해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전국 최초의 노후공단 재생사업의 성공모델을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