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4/08/20150408170436294112.jpg)
일본뇌염 주의보는 이 질환 매개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최초로 발견될 때 발령된다.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하거나 매개 모기 밀도가 높아지면 경보 발령으로 상향된다.
지난해 4월 21일에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이 이뤄진 것과 비교해 올해는 2주 정도 이르다.
일본뇌염은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려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혈액 내로 전파되면서 급성 신경계 이상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리더라도 95%는 증상이 없지만 일부는 열이 나고 두통, 구토 증상을 겪는다. 심한 경우 뇌염으로 발전해 의식장애와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인다.
일본뇌염을 예방하려면 모기 활동이 활발한 4월부터 10월까지 실내에서는 방충망이나 모기장을 사용하고, 야간 야외 활동은 자제하는 게 좋다. 야외 활동을 해야 한다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긴 소매 옷이나 긴 바지를 착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질병관리본부는 “광주 이외 지역에서는 일본뇌염 매개 모기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하고 “일본뇌염 예방 접종 대상인 생후 12개월~만 12세 아동은 표준 일정에 맞춰 예방 접종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