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긴장완화 시그널 확대...경기둔화, 시진핑 파워, 일대일로 등 요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7-02 11:0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지난 4월 22일 열린 아시아 아프리카 정상회의 기간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양자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중국과 일본 간 관계가 지난 4월 반둥회의를 계기로 '대화없는 갈등관계'에서 '대화하는 갈등관계'로 바뀐 이래 긴장국면 완화 신호가 뚜렷해지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돈과 권력 등 요인이 2년 이상 이어진 두 아시아 대국의 긴장관계를 잠시 누그러뜨려주고 있다고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통신은 중일 긴장완화 움직임을 부추기는 요인 중 하나로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를 꼽았다. 

양국의 외교 갈등으로 중국에 대한 대형 투자국 중 하나인 일본으로부터의 자금유입이 줄었고, 이는 중국 경제성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 2013년 양국간 무역 규모는 6% 급락한 3430억 달러에 그쳤고, 2014년에도 정체된 수준을 기록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7.4%로 24년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중국  입장에서는 양국 관계가 개선될 경우 무역과 투자 분야에서 더 많은 성장 여지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이 당총서기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등으로 1인 권력 체제를 강화하고 있는 만큼, 일본에 대한 태도 전환이 반발을 살 소지가 줄어들었다는 측면도 있다. 시 주석은 여러 차례 양국간 관계개선을 시도해온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화해를 조심스럽게 추진 중이라고 통신은 밝혔다.

전 세계 안보를 위협하고 있는 북한 문제에 대한 공조를 더욱 강화해 아시아에서 외교적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의 아시아 핵심 동맹국인 일본과의 관계 개선으로 미국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양국 관계 개선의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여기에 중국이 초대형 국책사업으로 추진 중인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에 있어서도 아시아 핵심 경제국인 일본과의 관계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중일 양국관계 개선 움직임은 지난 4월 반둥회의에서 이미 포착됐다. 시 주석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두 번째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간 긴장국면이 전환점을 맞이했음을 보여줬다. 아울러 지난달에는 러우지웨이(樓繼偉) 중국 재정부장과 아소다로(麻生太郞) 일본 재무상간 5차 회담이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개최됐다. 이는 2012년 4월 4차회담 이후 3년 2개월만이다. 

왕쉐핑 일본 도요대학(東洋大學) 부교수는 "중일 관계를 둘러싼 여러 문제가 크게 개선되고 있다"면서 "특히, 일본에 대한 중국 정부의 정책적 태도가 누그러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양국 관계 회복 정도를 가늠해볼 수 있는 향후 몇 가지 테스트가 남아있다. 오는 8월 아베 총리의 종전 70주년 담화는 양국 관계 정상화로 가는 주요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지금까지 과거사에 대해 진정한 반성의 뜻을 나타내지 않았던 아베 총리가 이번 담화에서 어떠한 발언을 하느냐가 양국 관계 개선의 의지를 대변하는 상징적 의미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양국 영토분쟁의 향방 또한 변수다.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 열도를 둘러싸고 한 차례 영유권 분쟁을 펼친 양국은 이번에는 남중국해를 무대로 한 갈등을 빚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