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메르스 현황] 유가족 국가·병원 상대 첫소송… 메르스 유의사항 재관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7-09 17:3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

 

[사진=아주경제DB]



아주경제 조득균 기자 = 메르스 사망자 유가족들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병원을 상대로 첫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한 가운데 메르스 유의사항에 대한 관심이 재차 높아지고 있다.
메르스 신규 확진자가 나흘째 발생하지 않으면서 진정국면으로 접어든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 대책본부도 현재 위기경보 수준을 '주의 단계'로 낮추고 있지만 국민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라는 인식이 높다.

메르스는 어떤 질병인가?

메르스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호흡기 질병으로 감염 시 주로 발열을 동반한 호흡기 증상을 보이며 중증으로 진행되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그러나 간단한 실천으로 전염을 막을 수 있으며 감염이 되더라도 평소 건강했던 사람이라면 가벼운 증상을 거쳐 거뜬히 이겨내고 완치될 수 있는 질병이다.

메르스는 어느 국가에서 발생하나요?

2012년 4월 최초 환자가 보고된 이후 2015년 6월 5일까지 25개국에서 발생하였으며, 메르스에 감염된 1,211명 중 492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유럽 질병통제청 2015.6.5일 기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에서 풍토병으로 지속 발생 중이고, 중동지역 이외의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미국에서도
유입사례가 있다. 중동지역 국가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요르단, 오만, 쿠웨이트, 이집트, 예맨, 레바논 이란 이렇게 10개국이며,
중동지역 외 국가는 터키,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스,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튀니지, 알제리, 말레이시아, 필리핀, 미국, 중국, 대한민국 15개국이다.

메르스에 감연되면 어떤 증상을 보이나?

메르스 감염은 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부터 급성 호흡기 증상, 폐렴, 심한 경우에는 패혈성 쇼크, 신체 여러 장기의 부전으로 인한 사망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대표적인 증상은 발열을 동반한 호흡기 증상이다. 소화기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만성질환 혹은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게서 폐렴, 급성신부전 등의
중증의 합병증이 잘 나타난다.

증상은 언제 나타나나?

증상은 감염 후 평균 5일 후에 나타나며, 최소 2일에서 최대 14일 사이에 나타난다.

치사율은 어떻게 되나?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치사율이 30~40%로 보고되었으나 이는 가볍게 앓고 지나간 경우가 포함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실제로는 이보다 낮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대략 10%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망한 환자들은 이미 만성폐질환, 신장질환, 암, 고혈압, 당뇨 등 심각한 질병을 이미 갖고 있었다.

한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9일 서울 동숭동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메르스 피해자들을 대리해 소송 3건을 이날 오후 서울중앙지법에 소장을 접수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국가와 지자체는 메르스 확진 판정 이후 국가기관병원으로 환자를 옮겨주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늑장 역학조사와 병원 폐쇄 조치로 상당한 피해가 발생했다"는 이유로 배상 청구 의사를 밝혔다. 또 "대학병원이 환자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메르스 치사율이 높아졌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