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월 최소생활비 부부 160만원, 개인 99만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7-10 10:2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2013년 현재 50세 이상 국민이 노후에 최저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고 여기는 월 생활비는 부부는 약 160만원, 개인은 약 99만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0일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 송현주·이은영·임란·김호진 연구원은 ‘중·고령자 경제생활 및 노후준비 실태’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국민연금연구원이 우리나라 중·고령층의 노후 준비와 생활 실태를 파악하고자 만 50세 이상 가구원이 있는 전국 5110가구를 대상으로 2005년부터 격년으로 시행하는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의 2013년도 제5차 조사 결과를 분석했다.

5차년도 조사 결과, 응답자들이 인식하는 주관적 노후시작 연령은 평균 67.9세였다.

노후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으로 응답자의 56.8%가 ‘기력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시기'를 꼽았다.

노후에 필요한 최소 월 생활비는 부부기준 159만9100원, 개인기준 98만8700원이었다. 적정 노후생활비는 부부기준 224만9600원, 개인기준 142만1900원으로 파악됐다.

전체 응답자의 50.7%는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지하지 않고 생활할 수 있는 독립적인 경제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었다.

노후대책 마련 주체로는 ‘본인’(63.9%)을 가장 많이 꼽았고 배우자, 정부가 그 뒤를 이었다.

노후생활비를 마련하는 방법은 응답자 스스로 노후시기에 진입했다고 여기느냐, 여기지 않느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미 노후에 들어섰다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자식과 친척한테 받는 생활비와 용돈’을 생활비 마련수단으로 가장 선호했다. 이어 정부보조금, 본인이나 배우자 국민연금, 근로 활동 등이었다.

노후시기에 진입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 80.4%는 노후를 대비해 경제적으로 준비하는 게 없다고 답했다.

19.6%만이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했는데, 노후준비 방법(다중응답)은 국민연금(50.4%), 예금·적금·저축성 보험(45.0%), 부동산 운용(25.0%) 순이었다.

자신이 노후시기에 해당한다고 인식하느냐, 않느냐에 관계없이 노후대책에서 자신에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경제적 문제’였고, 사회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는 부분은 ‘건강·의료’였다.

노후시기 진입 이전이라는 답한 사람의 91.9%는 ‘따로 살아야 각자의 생활방식을 지킬 수 있을 것 같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자녀와 떨어져 살기를 원했다.

노후를 보내고 싶은 지역으로는 농어촌(35.2%)과 중소도시(32.4%)가, 살고 싶은 주택형태는 단독주택(62.1%)이 가장 많이 꼽혔다.

여가활동은 주말과 주중 모두 ‘TV 시청, 라디오 청취’를 가장 많이 했다. 주중에는 26.5시간, 주말에는 13.9시간을 각각 여가활동으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