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새누리당은 오는 6일 오후 김정훈 정책위의장 주재로 정재찬 공정거래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열어, 경영권 분쟁이 한창인 롯데그룹을 중심으로 재벌 대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을 협의한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8/05/20150805153037385741.jpg)
당정이 롯데그룹 총수 일가의 경영권 분쟁을 계기로 재벌 지배구조를 대대적으로 손 볼 전망이다. 특히 대기업의 순환출자 금지 대상을 '기존 순환출자'까지 적용하는 방안이 집중적으로 다뤄질 예정이다.[사진제공=새누리당]
김정훈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은 전날 정재찬 공정거래위원장과 통화해 당정회의를 긴급 개최할 필요성에 공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위원장은 롯데그룹의 지배구조가 일본에 걸쳐 있는 만큼 내부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하고, 자료 제출이 제대로 이뤄졌는지도 점검키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당정회의에서는 416개에 달하는 롯데의 순환출자 고리를 해소하기 위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공정거래법)이 중점적으로 다뤄질 예정이다. 현행 공정거래법은 신규 순환출자만 금지하고 있으며, 롯데처럼 기존 순환출자는 적용대상이 아니다.
그러면서 "경우에 따라선 롯데뿐 아니라 다른 그룹의 지배구조도 살펴볼 수 있다"고 말해, 대기업 전반의 지배구조 개선을 시사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8/05/20150805153245539637.jpg)
당정회의에서는 롯데그룹처럼 재벌 총수 일가가 소수 지분으로 기업을 지배하는 데 대한 견제 장치도 논의될 예정이다. (사진) 노병용 롯데물산 사장이 그룹 사장단과 함께 4일 오전 서울 잠실 제2롯데월드 홍보관에서 열린 롯데그룹 긴급 사장단 회의를 마친 뒤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롯데그룹 사장단은 신동빈 롯데 회장 지지를 선언하며 "경영 적임자로 판단한다"고 밝혔다.[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
당정회의에서는 재벌 총수 일가가 소수 지분으로 기업을 지배하는 데 대한 견제 장치도 논의될 예정이다. 롯데의 경우 신격호 총괄회장의 지분은 0.05%, 신 총괄회장의 자녀 등 친인척 지분을 모두 합쳐도 2.41%에 불과하지만, 이번 경영권 분쟁으로 오너 일가의 '황제경영'이 논란이 되고 있다.
당정은 또 롯데를 비롯한 대기업 유통 계열사들의 문제로 지목된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골목상권 침해 등에 대한 제도적 규제 방향도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자사주 취득·매각, 사외이사 제도, 기업 공시 등 경영·승계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는 방안도 다뤄질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이번 롯데 사태로 면세점 입찰에도 불이익을 줘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심재철 새누리당 의원은 이날 당 회의에서 “정부는 면세점 심사 때 롯데의 볼썽사나운 싸움을 반영해야 한다. 롯데에 알짜 면세점을 허가해 줄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롯데는 오는 12월 소공점과 월드타워점 재심사가 예정돼 있다. 심 의원은 "현재 진행 중인 롯데에 대한 세무조사도 철저히 해 세금 탈루가 있었는지 분명히 가려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