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고위급 접촉] 이틀 연속 밤샘 협상…'이례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24 13:4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 24일 진행 중인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이 이틀 연속 밤을 새우며 '마라톤협상'을 이어가는 가운데, 남북회담에서 이처럼 연속적으로 밤샘협상을 하는 경우는 이례적이란 평가다.
 

[사진=연합뉴스TV방송화면캡처]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황병서 인민군 총정치국장을 양측 수석대표로 하는 남북 대표단은 22일 오후 6시 30분께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에 들어갔다.

이튿날인 23일 오전 4시 15분까지 밤을 새워 협상을 벌인 양측은 약 11시간 동안 정회한 뒤 같은날 오후 3시 30분 접촉을 재개했다.

하지만 남북 대표단은 21시간이 다 되는 24일 오후 1시를 넘은 현재까지도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박 3일간 무려 30시간을 뚸어넘는 마라톤협상을 벌였지만 입장차가 쉽게 좁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남북 회담에서 밤샘협상은 늘 있어왔던 것이지만, 이번처럼 이틀 연속 밤을 새워가며 논의에 임한 사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물론 과거 남북간 협상이 진행됐을 때에도 밤샘협상은 자주 있었다.

통상 2박 3일에서 5박 6일 일정으로 진행된 남북 장관급 회담 마지막 날은 어김없이 막판 기싸움이 벌어졌고, '남북회담 마지막 날은 합의문 도출을 위한 밤샘작업이 있다'는 것이 관행화됐다.

실제 2013년 개성공단 가동중단 사태와 관련해 같은해 7월 열린 개성공단 1차 실무회담과, 9월 열린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2차 회의가 각각 16시간, 20시간이 소요된 밤샘협상으로 진행됐다.

회담 일정이 하루 이틀 연장되는 사례도 드물지 않았다.

2000년 평양에서 열린 2차, 4차 장관급회담 당시 남북 대표단은 밤샘 논의를 하고도 합의에 이르지 못해 일정을 연장했고, 같은해 금강산에서 열린 2차 적십자 회담도 남측의 결렬선언 후에야 합의서가 채택됨으로써 사실상 일정이 하루 연장됐다.

하지만 22일부터 진행된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은 이와는 양상이 다소 다른 것으로 보인다.

양측이 의제선정부터 입씨름을 벌이다 밤샘협상으로 이어지는 외견은 비슷할지 몰라도 원인은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고위급 회담은 통상 사전 실무접촉을 거치기 마련이지만 이번 접촉은 북측의 포격도발과 경고성 포격전,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의 준전시상태 선포 등 상황이 급박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극적으로 성사된 까닭에 그럴 여유가 없었다.

이로 인해 양측 수석대표이자 남북의 비공식·공식적 군서열 1위인 김 안보실장과 황 총정치국장은 남북관계 현안과 관련 실무를 하나부터 열까지 직접 협의해 풀어나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