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폭락, 국내 기름값 1500원대 유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8-25 07:1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국제유가가 반년 만에 다시 40달러대로 폭락하고 있지만 주유소 기름값은 여전히 1500원대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오피넷 등에 따르면 지난 5월 7일 배럴당 65.06달러로 올해 들어 정점을 찍었던 두바이유 현물 가격은 이후 하락세를 거듭하면서 지난 21일에는 46.23달러까지 떨어졌다. 고점에 비해 30% 가까이 하락한 셈이다.

그러나 국내 주유소 휘발유 가격 평균값은 8월 셋째주 기준 리터(ℓ)당 1543.76원으로 두바이유 가격이 정점을 찍었던 5월 첫째주(1516.28원) 대비 오히려 20원 이상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주유소 기름값은 두바이유가 올해 들어 가장 낮았던 1월 둘째주(43.98달러)의 1531.05원에 비해서도 높다.
이처럼 국제유가에 비해 주유소 기름값의 하락폭이 작은 것은 국내 석유류 제품가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다.

우선 국제유가 하락분만큼 국제 석유제품 가격이 떨어지지 않은 점을 꼽을 수 있다. 
국내 석유제품 가격은 싱가포르 현물시장의 국제 석유제품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여기에 환율과 관세, 수입부과금, 국내 유통비용 등이 더해져 최종 판매 가격이 결정된다. 

싱가포르 현물시장에서 휘발유 제품 가격은 8월 셋째주 기준 ℓ당 461.83원으로 5월 첫째주(549.53원)에 비해 16% 가량 떨어졌다. 원유 가격은 30% 하락했지만 같은 기간 국제 석유제품 가격의 하락폭은 절반에 그친 셈이다.

원·달러 환율의 급등 역시 유가 하락분을 상쇄하는 요소다.
국제 석유제품 가격이 일정기간 변동이 없더라도 원·달러 환율이 20% 상승하면 정유사 공급가격에는 20% 만큼의 가격 인상 요인이 발생한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24일 기준 1199.30원으로 올해 들어 저점이었던 4월 29일의 168.10원과 비교하면 12% 이상 상승했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중국에서 두바이유를 대거 수입하면서 유가 하락분만큼 국제 석유제품 가격이 떨어지지 않은데다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국내 휘발유 제품가격이 유가 하락분만큼 떨어지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