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행사에는 황영택 휠체어 성악가의 특별공연, 고재수 부산시 복지서비스팀장의 ‘복지재정 효율화 기여방안’ 특강, 민경조 행정자치부 사무관의 ‘불법 유동광고물 신고참여 안내’ 특강, 서종우 가능성연구소장의 ‘가능성을 보고 적극적으로 사고하라’ 역량강화 창의력 특강 순서로 진행된다.
‘생활공감정책’은 한두 가지 작은 것만 바꿔도 국민생활에 실질적인 보탬이 되고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작지만 가치 있는 정책’을 뜻하며 경제, 사회복지, 교육·문화, 체육, 사회안전 등 국민생활의 불편과 어려움을 해소하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아 우수 제안을 정책과제로 발굴·실행하는 것이다.
생활공감정책 모니터단은 2009년 제1기가 구성됐고 2015년 제5기에는 327명(전국 4,037명)의 생활공감정책 모니터가 부산시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