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제수용품 등 농축수산물(15개), 생필품(10개)과 개인서비스(3개) 요금을 특별 관리품목(28개)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시는 14일부터 25일까지 물가관리중점기간을 설정하고 이 기간 중 지속적인 물가 모니터링 추진을 통해 성수품 수급상황, 가격동향 등의 감시활동을 강화하여 공정한 거래질서를 확립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와 16개 구·군에서는 물가대책상황실을 설치하고 종합상황실과 연계해 시·구·군, 경찰청 등과 합동단속반을 편성하여 주 1회 이상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개인서비스요금 등에 대해 합동 지도단속을 벌일 예정이다.
분야별 안정대책을 살펴보면 농산물의 경우, 채소류 및 과일류는 태풍으로 인한 농산물 피해가 크게 없는 관계로 작황은 양호하나 추석명절 수요 증가로 일시적으로 상승세가 예상됨에 따라 ‘농축산물 수급 및 가격안정 대책반’ 구성·운영, 농축산물 직거래장터 확대 운영, 유통단계 축소 등 적극적인 가격안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수산물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대표적 성수품인 참조기는 전월 대비 크게 상승하고 있어 수산물 소비자가격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정부 비축물량 수산물을 방출할 계획이다. 가격 급등은 없을 것으로 전망하지만 수산물 성수기 가격상승 시 출하 독려반 편성 운영, 수산물 원산지표시 추석 대비 합동 지도·단속반 편성 운영 등을 통해 가격안정을 유도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축산물은 쇠고기(한우) 외에는 추석 공급량 증가로 이번 추석에는 대체로 가격 안정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며, 원산지 허위표시 및 축산물 개체식별번호 표시 등 준수실태를 엄격히 지도할 계획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올해 추석 물가는 전반적 저물가 기조 속에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며 날씨 영향이 큰 과일 및 채소의 작황이 양호한 편이고 이미 각 분야별 성수품 물량 확보계획을 마련해 적극적인 공급관리를 통한 가격안정을 도모해 나가는 한편 예년과 같이 물가관리 중점기관 운영, 유관기관 합동단속, 개인서비스 요금 특별 지도․점검 등을 실시하고 수시 가격동향을 분석하고, 대량보관업체 수급 동향을 파악하여 성수품 수급안정에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