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정등용 기자 = 우리나라 정부가 일제강점기 일본의 강제동원 피해 기록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는 작업을 추진한다. 이는 최근 일본이 하시마(일명 군함도) 탄광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데에 따른 대응으로 분석된다.
13일 연합뉴스는 이미 정부 내에서 일제강점기 피해기록의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에 등재 추진 중인 기록물에는 지난달 31일 마감된 문화재청의 ‘2016년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 대상 기록물 공모’에 접수된 등재신청 후보 12개 중 일제 강제동원 피해 기록물 33만6797건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종류별로는 피해조사서 22만7141건, 지원금 지급심사서 10만5431건, 구술자료 2525건, 사진자료 1226건 등이다.
국가가 직접 나서 전쟁 피해에 대한 조사를 벌여 얻은 이번 기록물에는 일제가 직접 생산한 문서도 포함됐다. 기록물은 한반도와 일본 뿐 아니라 일제의 식민지와 점령지 전반에 관한 내용까지 담고 있다.
정부의 이러한 움직임과 함께 민간에서도 일제강점기 피해기록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사업에 힘을 보탠다.
종교계와 학계, 강제동원 피해 유가족 등은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운동본부'를 꾸려 학술·정책토론회와 홍보활동, 국내외 서명운동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일제강점하 사할린 강제동원 억류희생자 한국유족회'는 이미 서명운동을 통해 10만명 이상의 서명을 받은 상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