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16일 일본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로 한 단계 강등했다.
S&P는 "지난 3∼4년간 일본의 국채 신용도를 지탱하기 위한 경제적 지원은 계속 약해졌다"고 지적한 뒤 "일본 정부의 경제 회생 및 디플레이션 종식 전략은 향후 2∼3년간 이 약세를 되돌리기 어려워 보인다"며 등급 강등 이유를 밝혔다.
이번 등급 하향은 작년 11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소비세율 인상(8→10%) 시기를 2017년 4월로 1년 6개월 연기한 뒤 실질적인 재정적자 완화 대책과 경제성장 전략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평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으로 제시됐다. 이에 따라 한국의 신용등급은 3대 국제신용평가사 모두에서 일본보다 높아졌다.
S&P는 전날 한국의 신용등급을 'AA-'로 한 단계 올렸다. 이에 따라 15일까지 한국과 같았던 일본의 신용등급은 이날부로 한국보다 낮아졌다.
다른 신용평가사인 무디스와 피치가 부여한 한국의 신용등급은 각각 Aa3, AA-로 일본(무디스 A1, 피치 A)보다 높은 상태였다.
S&P까지 일본의 신용등급을 낮춤에 따라 일본 신용등급은 작년말 이후 3대 국제 신용평가사의 평가에서 모두 하향 조정됐다.
피치는 지난 4월 일본의 국가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한 계단 강등했고 작년 12월에 무디스가 'Aa3'에서 'A1'으로 한 단계 내렸다.
S&P는 "지난 3∼4년간 일본의 국채 신용도를 지탱하기 위한 경제적 지원은 계속 약해졌다"고 지적한 뒤 "일본 정부의 경제 회생 및 디플레이션 종식 전략은 향후 2∼3년간 이 약세를 되돌리기 어려워 보인다"며 등급 강등 이유를 밝혔다.
이번 등급 하향은 작년 11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소비세율 인상(8→10%) 시기를 2017년 4월로 1년 6개월 연기한 뒤 실질적인 재정적자 완화 대책과 경제성장 전략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평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으로 제시됐다. 이에 따라 한국의 신용등급은 3대 국제신용평가사 모두에서 일본보다 높아졌다.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16일 일본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로 한 단계 강등했다. [사진=일본 수상관저 자료 사진 ]
다른 신용평가사인 무디스와 피치가 부여한 한국의 신용등급은 각각 Aa3, AA-로 일본(무디스 A1, 피치 A)보다 높은 상태였다.
S&P까지 일본의 신용등급을 낮춤에 따라 일본 신용등급은 작년말 이후 3대 국제 신용평가사의 평가에서 모두 하향 조정됐다.
피치는 지난 4월 일본의 국가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한 계단 강등했고 작년 12월에 무디스가 'Aa3'에서 'A1'으로 한 단계 내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