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우상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국내 4대 과기원(한국과학기술원·울산과학기술원·광주과학기술원·대구경북과학기술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과기원의 정원 외 기회균등 전형 비율은 고등교육법에 범위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사진제공=우상호 의원실 ]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국내 4대 과학기술원(과기원)이 사회적 소외계층 입학에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사회적 배려자의 교육기회 제공을 위해 지난 2007년 도입된 ‘기회균등 전형’이 무용지물로 전락한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18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우상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국내 4대 과기원(한국과학기술원·울산과학기술원·광주과학기술원·대구경북과학기술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과기원의 정원 외 기회균등 전형 비율은 고등교육법에 명시된 범위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울산과기원과 광주과기원은 5.1%와 5.5%였고, 한국과기원은 3.3%에 그쳤다. 대구·경북과기원은 단 1명도 선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교육법 제34조에는 ‘대학이 모집정원 외 특별전형으로 전체 입학정원의 11% 이내에서 학생을 추가 선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서울 소재 주요 사립대 정원 외 기회균등 전형 비율(2∼5%)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서울시립대(2015년 수시모집 9%)와 비교해선 크게 떨어지는 수치다.
우 의원은 이와 관련해 “우수한 인재를 육성하고 그 인재가 다시 국가에 공헌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이들 과기원의 설립 목적 가운데 하나”라며 “저소득층, 농어촌, 재외국민 등 사회적으로 소외됐지만 뛰어난 학생들을 적극 선발해 우수한 국가인재로 육성해야 하는 본연의 의무를 방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