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T ‘핸드폰 찾기 콜센터’, 3년 사이 습득신고 37% 감소…실적도 전체 분실건수의 5% 불과

아주경제 정광연 기자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전병헌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20일(일)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4년간 KAIT관리 분실 단말기 현황’ 자료에 따르면, 매년 KAIT(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의 ‘핸드폰 찾기 콜센터’ 사업을 통해 휴대폰 습득자로부터 분실접수 받고, 본 주인에게 핸드폰을 찾아주는 숫자가 크게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AIT ‘핸드폰 찾기 콜센터’ 사업은 휴대폰 습득자가 대중교통이나 공공장소 등에서 핸드폰을 습득해서 이를 우체국이나 경찰서에 습득 신고한 휴대폰을 일괄 모아 주인을 찾아주는 사업이다.

하지만 접수되는 습득신고 건수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어 사실상 유명무실한 사업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 2012년 7만2331건의 휴대폰 습득 신고가 된 반면, 2014년에는 5만3552건으로 2년사이 25% 감소했고 올해 7월까지 습득신고는 2만6657건으로 2014년보다도 15%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과 비교했을 때 37% 줄어든 수치다.

‘핸드폰 찾기 콜센터’의 경우 습득한 휴대폰을 ‘가까운 우체통’에 넣어주기를 바라는 등 습득자 신고자에게 주어지는 포상은 적고 홍보도 부족한 상황으로, 사실상 습득자의 양심에 맡기고 있다.

특히,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콜센터에 신고된 분실건수와 비교하면 KAIT의 ‘핸드폰 찾기 콜센터’의 실적은 전체 분실건수의 5%(2014년 기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현실적으로 유명무실한 사업으로 전락했다.

이통3사가 제출한 순분실건수(분실건에서 분실해제를 뺀 수)를 보면, 2013년 123만건, 2014년 108만건, 올해 7월까지 56만건이 실제 휴대폰 분실로 이어진 걸로 나타났다.

전병헌 의원은 “연간 고가의 스마트폰 등이 100만건씩 분실되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정책이나 대책은 ‘습득자의 양심’에 기대는 수준에 불과한 상황”이라면서 “스마트폰 분실을 방지하는 앱 등을 의무화 하는 등의 분실 방지대책과 더불어 스마트폰 습득 신고시 현실에 맞게 포상을 하는 방법 등의 보완 정책이 필요한 때”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