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 측에 따르면 2008년 이후 대우조선해양에 임명된 사외이사는 18명으로 교수 3명, 금융권 인사 2명, 대우그룹출신 1명, 관피아 2명, 정피아 10명이었다.
이를 정권별로 분석하면 이명박 정부에서 임명된 사외이사는 총 11명으로 낙하산 사외이사는 7명(63.6%)이었으며, 7명 중 5명이 정피아였다. 2013년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대우조선에 임명된 사외이사는 7명으로 이 가운데 5명이 낙하산(71.4%)이었다.
이명박 정부에서 임명된 정치권 사외이사로는 안세영 뉴라이트 정책위원장, 김영 17대 대선 한나라당 부산시당 대선 선거대책 본부 고문, 장득상 힘찬개발 대표, 김영일 글로벌 코리아 포럼 사무총장,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 등이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임명된 정치권 사외이사 이종구 전 국회의원(17·18대), 조전혁 전 국회의원(18대), 이영배 인천시장 보좌관 등이 현재 사외이사로 재임 중이다. 이외에 임기가 끝난 신광식 제18대 대통령선거국민행복캠프경제민주화추진위원회위원, 고상곤 자유총연맹 등이 낙하산 인사로 분류된다.
김 의원은 "MB정부에서 임명된 11명 중 7명이 정피아, 박근혜 정부에서 임명된 7명 중 5명이 낙하산"이라며 "전 새누리당 국회의원, 국회의원의 보좌관 등 조선업에 대한 전문성이 없는 낙하산이 이사회를 구성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이 사외이사 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