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민수의원[사진제공=박민수 의원실]
2일 박민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수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수협중앙회 및 지역조합에 취업한 전·현직 임직원 자녀가 41명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조합별로는 중앙회가 9명, 지역조합이 32명으로 지역조합에서 임직원 자녀 취업이 더 심각했다. 연도별로는 △2010년 2명 △2011년 10명 △2012년 13명 △2013년 7명 △2014년 6명 △2015년 3명이 각각 채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협중앙회의 경우 취업한 임직원 자녀 가운데 퇴직 역대 통신국장들의 자녀 3명이 모두 통신직 4급으로 채용됐으며, 전직 차장 자녀 1명과 중앙회 사외이사 자녀 2명은 모두 사무직 3급에 채용된 것으로 드러나 채용에 부모의 지위가 작용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이들 32명 중 정규직 26명의 65% 이상인 17명은 계약직으로 채용된 후 다시 정규직으로 전환된 경우로 채용에 일종의 꼼수를 사용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있다.
박 의원은 “부모가 높은 자리에 있던 일자리에 자녀가 취업하면 정식절차를 거쳤다고 해도 특혜의 의심을 받지 않을 수 없다”며 “채용방법마저 불투명하고 정규직 전환이라는 꼼수까지 동원한다면 고용세습이라는 비판을 피해갈 수 없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