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0/13/20151013162300326819.jpg)
▲ 국회 ‘농어촌·지방 주권 지키기 의원 모임’ 소속 여야 의원들이 지난 12일 오전 농어촌·지방 선거구 획정과 관련해 정의화 국회의장을 찾아 항의하고 있다. [사진= 남궁진웅 기자 timeid@]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국회 '농어촌 지방 주권 지키기 의원모임' 소속 여야 의원들은 13일 내년 4월 총선 선거구 획정 논의에 대한 양당 지도부의 협상을 촉구했다.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황영철 새누리당 의원은 해당 모임 명의의 성명서를 통해 "양당 지도부는 책임을 미루지 말고, 농어촌과 지방의 지역 대표성 확보를 위한 원칙과 기준을 마련해 즉각 협상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는 이날까지 선거구 획정안을 국회에 제출해야 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해 제출이 무산됐다. 이에 획정위는 "국민들께 송구하다"면서 국회의 결단을 촉구하는 내용의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했다.
이를 두고 농어촌 지역 의원들은 "획정위가 획정안 제출 법정시한을 지키지 못한 책임은 선거구 획정 원칙과 기준을 제시해 주지 못한 양당 지도부를 비롯한 정치권에 있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양당 지도부 협상을) 더 지체할 경우 내년 총선 선거구 획정은 더 큰 혼란에 빠질 것"이라며, "농어촌과 지방의 지역대표성 문제와 같은 중요한 선거구 획정기준 논의를 이런 식으로 무산시켜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들은 "양당 지도부와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우리가 요구하는 '농어촌 지방 특별선거구'를 전향적으로 검토해 수용하라"고도 요구했다.
이어 "농어촌과 지방의 선거구 수는 현행대로 유지돼야 한다"면서 양당 지도부와 정개특위의 조속한 논의를 촉구했다.
황영철 의원은 성명서 발표 후 기자들과 만나 "농어촌 특별선거구와 같은 대안입법이 마련되지 않으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선거 때마다 농어촌과 지방의 의석 수는 줄어들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농어촌 특별선거구가 위헌이라면 국가가 농어촌과 지방을 살리기 위해 하고 있는 여러 시책 또한 위헌으로 볼 수밖에 없다"면서 "단 몇 곳의 지역구라도 살리려고 하는데 얼마나 절박한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장윤석 새누리당 의원 역시 "선거구 획정을 인구 비례만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분들이 꽤 많다"면서 "이건 정말로 도그마"라고 말했다.
장 의원은 17대 총선과 19대 총선 당시 제주도와 세종시가 각각 인구 하한 기준에 미달했지만 국회의원을 냈던 사례를 언급하며, "4개 군에 최소 한 명의 국회의원 내도록 기준을 정해달라는 게 농어촌 지역구 의원들의 피끓는 호소"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