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개한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경제적효과 분석에 따르면 지난 1~14일 실시한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동안 주요 백화점·대형마트 등 22개 참여업체의 매출액은 전년보다 약 7194억원이 늘었다. 이는 20.7%가 증가한 수준으로 롯데·현대·신세계 등 백화점과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 증가액이 가장 컸다.
우선 백화점의 매출액을 보면 2669억원(24.0%)이 늘었고 G마켓·11번가 등 11개 온라인쇼핑몰은 28.9%가 증가한 2161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CU·GS25·세븐일레븐 등 편의점의 경우는 36.3%가 늘어난 165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등 대형마트 매출의 경우는 3.6% 증가한 357억원, 하이마트·전자랜드 등 전자제품 전문점도 20.9% 상승한 353억원이었다.
백화점·대형마트 등 소매업종 매출액도 추세상 매출 증가분인 2900억원을 제외하면 평소보다 약 4300억원이 추가로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이로 인한 부가가치 유발액도 3500억원 수준이라는 점에서 우리 경제의 분기별 소비지출 규모 약 0.2%에 해당된다는 분석이다.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동안 외국인 관광객의 입국도 증가하면서 음식점·숙박업소 등에 지출한 금액도 약 3~400억원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행사에서 전통시장은 사전준비 소홀 등 사업효과가 거의 없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유통업체 관계자는 “지난해 이른 추석으로 벌어진 착시효과도 있는 만큼 매출 증가 요인을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효과 때문으로만 볼 수는 없다”면서 “작년 매출이 워낙 낮은 기저효과뿐만 아니라 대형유통업체들의 그늘에 가린 전통시장은 효과를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수도권 특정 대형유통가에만 매출이 집중됐고 광역시 및 지방 소도시의 경우는 편중효과가 심할 것”이라며 “지방도시는 블랙프라이데이 행사가 제대로 홍보되지 않은 채 신혼부부·가을시즌 등의 행사가 오히려 많았다”고 설명했다.
전응길 산업부 유통물류과장은 “충분한 준비기간 제공, 제조업체 참여 확대, 전통시장·영세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 강화 등 보완이 필요한 사항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며 “유통업체, 소비자, 제조업체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연말까지 행사시기, 기간, 행사명 등 내년도 시행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