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20대 총선 룰' 안갯속…15일 예비후보 등록 스타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12-13 09:2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레이스의 신호탄인 예비후보자 등록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내년 4·13 총선을 120일 앞둔 오는 15일부터 내년 3월 23일까지 예비후보자 등록을 접수한다고 13일 밝혔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레이스의 신호탄인 예비후보자 등록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내년 4·13 총선을 120일 앞둔 오는 15일부터 내년 3월 23일까지 예비후보자 등록을 접수한다고 13일 밝혔다.[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


예비후보자 제도는 공식 선거운동 기간 전이라도 일정한 범위에서의 선거운동을 허용함으로써 '정치 신인'에게도 자신을 알릴 기회를 보장해주기 위해 지난 2004년에 도입됐다.

총선 출마 기탁금 300만원을 내고 예비후보자 등록을 하면 자신의 선거운동을 위해 선거사무소를 설치하고 간판·현판·현수막을 내걸 수 있으며, 사무장을 포함 총 3명 이내의 선거사무원을 둘 수 있다. 후원회를 설치해 1억5천만원까지 정치자금을 모금할 수도 있다.

또 재래시장, 길거리 등의 공공장소에서 자신을 홍보하는 내용을 적은 선거운동용 명함을 직접 배부하거나 어깨띠 또는 예비후보자임을 나타내는 표지물을 착용할 수 있다.

본인이 직접 전화통화하는 방식으로 지지를 호소할 수 있고, 문자메시지(후보자 때를 포함해 최대 5차례), 이메일 등을 전송 대행업체에 위탁해 보내는 방법의 선거운동도 가능하다.

출마 지역구 전체 가구의 10%의 범위에서 신고 후 요금 별납의 방법으로 예비후보자 홍보물 발송도 허용된다.

물론 예비후보자 등록을 하지 않더라도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선거운동은 가능하다.

선관위에 따르면, 예비후보자가 아닌 입후보 예정자의 경우 선거사무소를 설치할 수는 없지만 '선거준비사무소' 1개를 둘 수 있다. 단, 선거사무원을 둘 수 없고 간판·현판·현수막 게시도 허용되지 않는다.

어깨띠나 예비후보자임을 나타내는 표지물을 착용할 수 없고, 예비후보자 홍보물 발송도 불가능하다.
선거운동에 해당하는 문자·음성·화상·동영상 내용을 유권자에게 전송할 수는 있지만, 전송 대행업체에 위탁할 수는 없고 직접 통화도 안된다.

명함에는 이름·사진·전화번호·학력·경력 등 통상적인 내용 외에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용을 게재할 수 없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상대방과의 인사 과정에서 명함을 주고받는 행위 외에 공공장소에서 만나는 불특정 다수에게 명함을 배부할 수 없다.

지난 2004년 예비후보자 등록제도가 처음 도입된 이래 예비후보자 등록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선관위 집계에 따르면 18대 총선에서 484명에 불과했던 예비후보자는 19대 총선에선 1천54명으로 늘었다.

선관위 관계자는 "선거구획정에 따른 혼선이 있기는 하지만 예비후보 등록은 유권자에게 더욱 적극적으로 자신을 알릴 기회를 부여한다"면서 "많은 정치신인의 참여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