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내년부터 청사 내 정수기를 없애고 병에 든 해수담수(350㎖)를 하루 5000병씩, 주말을 제외한 월 20일간 10만병을 시청·시의회 직원에게 무료 공급한다고 밝혔다.
또 시는 물 생산량이 확보되면 16개 구·군으로 해수담수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책위원회는 시의 이 같은 조치에 대해 "이는 사태의 본질과는 거리가 먼, 기장주민들을 호도하기 위한 보여주기식 쇼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부산시는 공무원들의 강제 희생을 통해 해수담수화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말고 사태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해결해 주민 불안을 해소하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해수담수가 믿고 마실 수 있다는 것을 시민에게 보여주기 위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해수담수화대책위원회 관계자는 "하지만 시의 이러한 결정은 기장주민들이 해수담수에 대해 안심하고 믿음을 회복하는 것과는 전혀 무관한 일"이라면서 "안전 검증이 어려운 해수담수 식수 공급 계획을 전면 백지화하고 다른 용도로 전환하거나 시설을 폐쇄하는 것이 정답"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