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미국 2020년까지 성장" 전망 등장…건실한 고용에 위기타파 가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1-12 14: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부채비율 등 수치 매우 긍정적…S&P 지수 3000 상승 예측도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전세계 금융시장이 '차이나 쇼크'로 흔들리고 있는 가운데, 미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인 모건스탠리는 미국 경제가 2020년까지 견고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고 CNN 머니가 11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노동부가 지난 8일 발표한 비농업부문 고용자 수는 전월대비 29만 2000명이 늘어났다. 당초 시장 예상치였던 20여만명을 훌쩍 넘어선 수치다. 비농업부문 고용자 수는 경기 움직임을 반영하는 중요한 수치로, 20만명 이상은 '고용팽창'을 의미한다. 미국은 3개월 연속 20만명이 넘어섰다. 실업률도 5.0%로 완전고용에 가까운 수치를 유지했다.

모건 스탠리는 1999년이후 두번째로 높은 고용증가를 보이고 있는 노동시장 상황에 주목했다. 견고한 노동시장은 결국 미국 경제 주요 축인 소비를 촉진하게 되기 때문이다. 미시간대학교 소비자심리지수는(CSI)는 지난해 92.9를 기록했다. 이는 2004년 이래로 가장 높은 수치다. 2008년 이 수치는 55에 불과했다.  

미국인의 가계부채 상황 개선도 긍정적인 전망을 뒷받침한다. 2008년 135%에 달했던 가처분 소득대비 부채의 비율이 106%까지 내려왔다고 모건스탠리는 밝혔다. 세후수입 대비 채무상환금의 비율 역시 최근 30년간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90일이상 채무불이행자의 비율 역시 4%로 떨어졌다. 

지난친 투자로 인한 경기의 갑작스런 거품 붕괴의 위험이 줄었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S&P 1500 기업들 영업 대비 자본지출 비율은 올 연말까지 4.6%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수치는 과거 두 차례의 경기 침체 때에는 6~9%를 기록한 바 있다. 이는 기업들이 과잉투자에 나서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물론 비관론을 펴는 곳도 있다. 중국 증시폭락으로 인한 혼란 전인 지난 달 시티그룹은 올해 미국이 경기 침체를 맞을 확률을 65%로까지 높여서 전망했다. 글로벌 경제 위기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예측되지 못한 충격때문에 미국 경제가 흔들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에 미국 경제의 미래를 결코 장밋빛으로만 볼 수는 없다고 CNN 머니는 지적했다. 

그러나 모건스탠리의 전망대로 미국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을 한다면 2009년 중반부터 2020년까지 이어지는 경제성장은 1991년 3월에서 2001년 3월까지 이어진 성장기를 제치고 최장 경제성장기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될 경우 S&P 500 지수는 2020년에 3000까지도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모건스탠리는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