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1/12/20160112110321441420.jpg)
김인배 부경대 명예교수 [사진제공=부경대]
아주경제 부산 정하균 기자= 올해 구순이 된 노학자가 평생 모은 가욋돈 6억원을 제자들에게 장학금으로 지급한 사실이 알려져 화제다. 가욋돈은 그에게 월급 말고 생긴 수입을 말한다.
주인공은 지난 1991년 정년퇴임한 부경대 김인배 명예교수(양식학과).
12일 김 교수는 자신이 이사장으로 있는 (재)양식개발장학회를 해산하고 남은 기금 2억344만4656원을 부경대에 발전기금으로 기부했다.
연로한 김 교수가 1988년 자신이 창립한 장학회를 이제 더 이상 운영할 여력이 없어 해산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이 기금에 얽힌 사연이 눈길을 끈다.
우리나라 양식학계의 '태두'로 꼽히는 김 교수는 교수생활 40여년 동안 월급 말고 생긴 가욋돈은 집에 가져가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다고 한다.
이 장학회 창립기금 1억5000만원은 김 교수가 농촌개발사업을 지원한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특별 요청으로 1972년부터 양어 전문가로 활약하며 FAO로부터 받은 월급과 각종 수당, 출장비 등을 꼬박꼬박 모은 것이다.
심지어 1991년 정년퇴임식 때 제자들이 고맙다고 그에게 모금해준 3200만원도 장학회 기금으로 넣었다고 한다. 장학회 창립 후 28년 동안 학생들에게 전달된 장학금은 무려 3억9800만1500원. 이 돈과 이번에 부경대에 기부한 2억344만4656원을 합쳐 그의 기부액은 6억원에 이른다.
1949년 부경대 전신 부산수산대 수산생물학과를 졸업한 김 교수는 이 대학에 40년 넘게 재직하며 연구와 후학양성에 매진하면서 양식분야 학문과 기술발전을 이끌어왔다.
어류양식에 사용되는 물을 반복적으로 정화, 재사용해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도록 개발한 그의 '순환여과식 양식기술'은 1987년 7월 호주 TV네트워크의 'Beyond 2000'이라는 프로그램에 세계 10대 미래기술의 하나로 선정돼 방송되기도 했다.
김 교수는 퇴임 후에도 우리나라의 좁은 국토와 경제 사회적 상황에서 지속가능한 미래지향적 폐쇄식 양식기술 연구개발에 열중하고 있다.
요즘 젊은이들에게 전할 말을 부탁하자 그는 "젊은 시절 해방에다 전쟁통이어서 학교에서 제대로 못 배워 수학·영어는 물론이고 건축기술과 도서관 사서업무까지도 독학으로 익혔던 일, 남들이 아닌 어제의 나와 경쟁한다는 생각으로 노력했던 점, 내가 하는 일은 일류라야 한다는 자부심으로 일했던 점이 기억에 남는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돈이 된다고 아무 일이나 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부경대는 김 교수가 기부한 돈을 김인배 장학금이라는 명칭으로 매년 500만원씩 장학금으로 학생들에게 지급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