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내부에서도 변하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들다는 긴장감이 팽패하다. 은행장들이 한결같이 올한해 화두로 변화와 혁신을 내세울 정도다. 그러나 위기를 인지하고 있는 것과 달리 그 변화에 대응하는 속도는 더디다는 게 금융권 안팎의 평가다.
◆성과주의 확산 '칼' 빼든 금융당국
12일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또 다시 ‘성과주의 확산’을 강조하고 나섰다. 금융권이 보신주의에 사로 잡혀 있지말고, 변화를 추구해야한다는 주문이다.
이처럼 금융당국이 연초부터 성과주의에 강력 드라이브를 거는 것은 현재의 임금체계를 개혁하지 않고서는 금융 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당장 금융공기업인 기업은행과 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자산관리공사, 주택금융공사 등이 그 시험대로 오를 것으로 보인다. 당국은 기업별 성과주의 도입 추이에 따라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하지만 은행들은 변화를 두려워하는 모습이다. 금융공기업을 시작으로 전 은행권에 노사갈등을 격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대다수다. 이미 자체적으로 성과주의를 시행하고 있다며 반박하는 금융공기업도 있다.
이와관련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금융개혁의 이면에는 높은 연봉을 받음에도 제대로된 생산을 하지 못하는 데 있다"며 "특히 은행들은 자산규모만 컸지, 질적인 성장을 하지 않고 정체돼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핀테크·글로벌...차별성 없는 전략
은행들이 변화에 둔감한 것은 최근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핀테크 전략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인터넷전문은행 등장 등으로 IT기업들이 금융시장에 진출을 서두르는데도 불구하고 은행들은 이렇다할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각 은행들이 쏟아내는 핀테크 지원책은 비슷한 수준인 데다 정부에 '보여주기식'정책에 그친다는 것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이 핀테크를 화두로 바쁘게 움직이고 있는 것 같지만, 실제 들여다보면 기존 인터넷뱅킹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며 "부수적인 서비스만 늘어났을 뿐 본질 자체가 핀테크화됐다고 보기는 힘들다"고 지적했다.
은행마다 문을 연 핀테크 지원 센터도 마찬가지다. 지원센터 통해서 핀테크 기업들 지원하고는 있지만 그 서비스가 상용화된 사례는 없다. 은행들은 서비스 상용화를 '검토중'이라고 답변하지만, 결국 '생색만 내고 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 이유다.
시중은행들이 새로운 수익원을 찾아 해외 진출을 꾀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만만치 않다. 특히 중국, 동남아 등 특정 지역으로의 쏠림현상만 더 심해졌다.
금융감독원 집계에 따르면 지난 2014년말 기준 국내은행의 지역별 해외점포수 비중은 아시아 시장이 66%를 차지하고 있다. 그 가운데에서도 동남아 지역에만 43%가 몰려있다. 올해 역시 우리·KEB하나·신한·국민·농협 등 국내 시중은행들이 해외 네트워크를 100곳 이상 늘릴 계획이지만 대부분 동남아 시장에 집중돼 있다.
진출 초기의 경우 그 나라에 진출한 한국 기업이나 현지 한국 교민을 상대로 주로 영업하기 때문에 국내 은행들간 경쟁이 불가피하다. 이때문에 해외 시장에서도 다른 글로벌 은행들과 경쟁하기 부터 한국 은행들끼리 제살 깎아먹기식 영업에 그치는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김진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현재 국내은행 해외전략은 대부분 동남아지역에 쏠려있다"며 "이같은 쏠림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성장잠재력이 높은 서남아시아 등 진출지역을 다변화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